기타

단맛은 이걸로‥조미료 대신 천연재료로 맛 내기

이미진 헬스조선 기자 | 참고서적=휘리릭 아이밥상

아이에게 건강한 밥상을 차려주고 싶은 엄마라면, 각종 조미료나 화학 재료 대신 천연 무공해 재료를 쓰고 싶어한다. 그러나 매번 무공해 재료를 쓰기란 어려운 법이다. 건강하고 손쉽게, 다른 재료로 같은 맛을 낼 수 있는 방법을 알아봤다.




이미지

사진-조선일보DB
◇단맛: 설탕·물엿→ 꿀·야채
정제 설탕은 원래 설탕에 있던 미네랄, 비타민은 모두 빠지고 영양가 없는 당분만 남은 상태다. 백설탕이 정제 설탕의 첫 번째이며, 재가열하면 황설탕, 색을 입히면 흑설탕이 나온다.
아이들 먹거리엔 가공 설탕 대신 100% 자연산인 꿀을 이용할 수 있다. 꿀에는 아연, 구리, 칼슘 등 성분들이 많고 이미 벌이 한 번 소화시켰기 때문에 장이 연약한 아이들이 먹기에 무리가 없다. 요리에 사용하는 꿀은 향이 없고 물처럼 흐르는 저렴한 제품이 적당하다.
양파, 양배추, 파프리카 등 단맛이 많이 나는 채소를 넣으면 꿀이나 설탕 없이 단맛을 보충할 수 있다.

◇감칠맛: 화학조미료→멸치·다시마·표고버섯
글루타민산나트륨(MSG)은 감칠맛을 내는 데 뛰어나지만 멸치나 다시마, 표고버섯을 사용하면 아이들 건강에 좋다. 내장을 뺀 멸치와, 다시마 한 조각을 끓는 물에 넣고 5분 있다 건져내면 간이 적당히 맞춰진 국물이 된다. 마른 표고버섯도 물에 불려 국물을 우려내 된장찌개 등을 끓일 때 넣으면 좋다. 평소 마른 표고버섯, 다시마, 새우 등을 갈아서 보관해두면 편하다.

◇비린내 제거: 맛술→청주·와인
맛술은 요리에 넣는 술로 알코올에 당분과 조미료로 간을 해서 만든 제품이다. 찌개, 조림장 등에 많이 쓰인다. 그 대신, 가공하지 않은 깨끗한 청주를 사용하면 좋다. 청주를 넣어 약간 간이 밍밍하다고 느껴지면 꿀을 조금 넣는다.
고기나 생선을 재울 땐 와인으로 대체한다. 쇠고기나 돼지고기를 재울 때는 레드와인을, 생선 혹은 홍합의 비린내를 없앨 땐 화이트와인을 쓴다. 요리에 쓰는 와인은 저렴하고 용량이 적은 것으로 고른다.




�ъ뒪議곗꽑 �쒕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