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부과
무좀과 착각하기 쉽지만 전혀 다른 봉소염
헬스조선 편집팀 | 도움말=가톨릭대학교 성바오로병원 피부과 강훈 교수
입력 2012/07/12 09:10
봉와직염이라고도 불리는 이 질환은 황색포도구균이나 연쇄구균이 피부의 상처를 통해 감염되는 질환이다. 특히 무좀을 갖고 있으면 발가락이나 발바닥에 각질이 벗겨져 난 상처를 통해 감염될 수 있으며, 무좀과는 분명 다른 질환이다. 무좀이 없더라도 군대에서 오랜시간 행군을 하거나 등산 및 마라톤 같은 운동 등 무리하게 발을 사용해도 물집이 터져 걸리기 쉽다. 봉소염은 원인 세균의 특성상 높은 기온과 습도일수록 많이 발생하는데, 사계절 중 50%가량이 여름철에 나타난다.
무좀이 피부사상균이라는 곰팡이에 의해 피부 각질이 감염된 것이라면 봉소염은 피하지방층이 세균에 의해 감염된 것이다. 무좀은 열이나거나 통증이 없지만 봉소염은 이 두가지를 동반한다. 또 상처를 따라 온몸 어디에나 생길수 있다.
봉소염의 주된 치료제는 항생제로 주사와 함께 약물 치료가 이루어진다. 치료는 비교적 쉽지만 염증이 심해 항생제로만 치료가 불가능하면 고름을 제거하는 등의 시술도 필요하다.
봉소염은 무좀이 계속 있으면 재발할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봉소염의 증상이 없어졌더라도 무좀 치료는 계속 해줘야 한다. 그러나 목초액 등 민간요법을 함부로 실시하면 안된다. 목초액에 발을 담그면 각질이 벗겨져 무좀에는 약간의 효과가 있을지 모르나 이로 인해 2차 감염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봉소염은 병원 치료 외에 얼음이나 차가운 수건으로 냉찜질을 한 뒤 어느정도 회복되면 더운 물로 찜질을 해 안정을 취해주는 것이 좋으며 사무실에서는 구두 대신 슬리퍼 등을 신어 발을 편하게 해주는 것이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