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협심증은 물 많이 마시고, 심부전은 적게 마셔야
김현정 헬스조선 기자
입력 2012/07/11 09:10
질병과 수분 섭취
물이 해가 되는 병_간경화, 배에 복수 차고 심부전, 폐 부종 유발
물이 득이 되는 병_폐렴, 호흡기 마르지 않게 방광염, 소변 마려울 만큼
수분 섭취를 권장하는 질병과 제한하는 질병이 따로 있다. 체내 순환과 노폐물 배출을 촉진해야 한다면 물이 필요하고, 순환 및 배출 능력이 떨어진다면 물을 멀리해야 한다. 성빈센트병원 가정의학과 강성구 교수는 "수분을 적게 섭취해야 하는 경우라면 의사가 제시한 양만 마시고, 염분 섭취도 함께 줄여야 한다"고 말했다.
▷심부전=심장 기능이 떨어져 심장에 들어온 혈액을 충분히 내보내지 못한다. 따라서 물은 하루 1L 이내로 마셔야 한다. 그 이상 마시면 혈액이 제대로 순환되지 못하고, 혈관에 정체된다. 강북삼성병원 순환기내과 김병진 교수는 "늘어난 혈액량 때문에 혈관 압력이 높아지면, 수분이 압력이 낮은 폐와 뇌로 흘러 들어가 부종을 일으킬 수 있다"고 말했다. 증가된 수분이 저나트륨혈증도 유발한다.
▷심한 갑상선기능저하증=물을 많이 마시면 수분 배출이 잘 안되므로 저나트륨혈증이 생긴다. 심한 저나트륨혈증이면 나트륨 수액 주사를 맞아야 한다. 심하지 않을 때는 수분을 하루 1L 미만으로 제한하면 된다.
▷간경화=간기능이 떨어지면 알부민이 생성되지 못한다. 혈액 속 알부민 농도가 낮아지면 수분이 각 장기에 배분되지 못하고 혈액에 남기 때문에 혈액 속 수분 함량이 높아진다. 늘어난 수분은 복강으로 흘러들어가서 배에 복수가 찬다.
▷신부전증=갈증이 날 때만 의사가 권고한 양의 물을 마셔야 한다. 투석을 하는 5기 환자는 투석을 통해 단백질이 빠져 나가면서 알부민 생성 기회 자체가 사라진다. 그러면 수분이 각 장기에 배분되지 못하고 복강으로 흘러가 복수가 찬다.
▷부신기능저하증=부신호르몬인 '알도스테론'이 과다 생성되는데, 이는 수분과 염분의 원활한 배출을 막는다. 따라서, 많은 수분 섭취는 전신부종을 일으킨다.
◇충분히 마셔야 하는 질병
▷폐렴·기관지염=폐렴이나 기관지염 등 호흡기 질환에 걸리면 열도 오르고 호흡이 가빠지기 때문에 피부와 호흡기를 통한 수분 배출이 늘어난다. 호흡기가 마르지 않도록 미지근한 물을 조금씩 자주 마신다.
▷염증성 비뇨기질환=요로감염, 방광염, 전립선염이 있으면 소변이 마려울 정도로 수분을 많이 섭취해서 염증 유발 물질을 소변으로 배출시켜야 한다. 노폐물이 배출되지 못하고 농축되면 요로결석으로 변할 수 있다. 자신의 하루 소변량보다 500mL 이상 더마셔야 한다.
◇고혈압·협심증=혈액 속 수분이 부족하면 혈액 점도가 높아져 혈액 흐름이 더뎌진다. 이 경우 혈전(핏덩어리)이나 지방이 혈관 벽에 쌓이게 될 확률이 높아지므로 하루 1.5~2L 정도의 물을 마시는 것이 좋다. 이상지질혈증 단계부터 물을 충분히 마시면 협심증으로 진행되는 것을 억제하는 데 도움이 된다. 단, 염분은 하루 5~6g 이하로 철저히 제한해야 한다.
▷당뇨병=신부전 합병증이 없는 당뇨병 환자는 수시로 물을 마셔서 혈당 상승을 억제해야 한다. 분당서울대병원 내분비내과 최성희 교수는 "특히 갈증을 잘 못느끼는 노인 당뇨병 환자는 목이 마르지 않아도 두 시간에 한 번씩 의식적으로 물을 마셔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