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면무호흡증, 주변에 흔하다고 해서 대수롭지 않게 생각하면 안 된다. 한국인 사망 원인 2위로 알려진 뇌졸중의 중요한 원인 중 하나가 수면무호흡증이다. 이외에 수면무호흡증이 부르는 합병증에 대해 알아봤다.
일상에 지장을 줘요!
잠들었다 자신의 코 고는 소리에 놀라 깬 경험이 을 것이다. 이와 같이 코를 골면 자신도 모르는 사이 깊은 잠으로 빠지다가, 다시 얕은 각성 상태로 깨다가, 또 잠이 드는 현상이 반복된다. 무호흡 상태가 올 때마다 뇌의 경고 장치가 강제로 깨워 근육을 수축시키고, 기도를 넓혀 숨을 쉬게 만들기 때문이다. 수면무호흡증이 있으면 자신은 잠에서 깨는 것을 느끼지 못해도 실제로 ‘반쯤 깬 상태’로 잠자는 것과 마찬가지다. 이처럼 수면이 방해되면 다음날 아침 잠잔 것 같지 않고 몸이 찌뿌둥하다. 생활하면서 집중력과 인지능력이 떨어지고, 자꾸 졸리고 피곤하다. 졸음운전 교통사고율도 일반인에 비해 매우 높다. 또한 코골이 환자 중 상당수는 발기부전이나 성욕감퇴를 호소하고, 심한 경우 자신의 코 고는 소리 때문에 난청을 유발할 수도 있다.
심혈관 질환 일으켜요!
수면무호흡증이 심장 발작, 뇌졸중과 관련 있다는 사실은 여러 연구결과에서 밝혀져 있다. 2008년 헝가리 과학자들이 일반인 약 1만2000명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심하게 코를 고는 사람의 심장 발작이나 뇌졸중 위험이 코를 골지 않은 사람에 비해 높았다. 연구결과 코를 심하게 고는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각각 심장발작 일으킬 확률 34%, 뇌졸중 발작 일으킬 확률 67%, 고혈압 발생 확률 40% 정도로 높았다. 수면무호흡증은 자는 도중 호흡이 순간적으로 정지한다. 그 결과 체내에 산소가 부족해져 저산소증이 나타난다. 저산소증은 심근경색, 고혈압, 뇌졸중 등의 원인이기도 한다. 숨이 멎는 것이 20회 이상이면 자칫 돌연사할 수 있다. 특히 수면무호흡증에 의한 고혈압은 막힌 숨을 내쉬려 힘을 써야 하는 탓에 발생한다. 이는 약물로 혈압조절이 어려워 치료가 시급하다. 뇌졸중도 수면무호흡증으로 인해 막힌 숨을 내 쉬려 힘을 써야 하기 때문에 발생한다. 수면이 중간 중간 끊어지고 이로 인해 자율신경계가 자극받으면 심장 질환이 생길 수 있다. 최근 수면무호흡증이 비만인 사람에게 주로 생기는 제2형 당뇨병과 관련 있다는 연구도 나오고 있다.
만성기관지염이 생겨요!
코를 자주 고는 사람은 흡연과 대기오염에 노출되지 않아도 만성기관지염에 걸릴 위험이 높다는 연구결과가 있다. 고대안산병원 신철 교수팀은 40~69세 성인 4270명(남성 2203명, 여성 2067명)을 대상으로 4년간 추적 조사한 결과, 1주일에 6일 이상 코를 고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만성기관지염 발생 확률이 1.68배 높게 나왔다고 밝혔다. 1주일에 6일 이상 코를 고는 흡연자의 만성기관지염 발생 위험은 정상인의 2.9배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