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특히, 간접흡연의 대표적 지표물질인 니코틴은 실내환경에서 많이 볼 수 있는 카페트나 페인트가 칠해진 벽에 잘 흡착되며 그 흡착률은 철 표면에 비해 2~3배 높다. 실내 먼지에 흡착된 니코틴은 21일이 지난 후에도 약 40% 남아있을 정도로 오래 남아있다.
서울대 보건대학원 이기영 교수는 “흡연이 장기간 지속적으로 이뤄졌던 실내에서 표면에 흡착돼 있는 니코틴의 양은 담배 한 개비를 흡연했을 때 나는 양보다 많을 수 있다”며 “이는 환기로 해결할 수 없다”고 말했다.
한편, 흡연한 직후 담배연기는 흡연자의 폐에 남아서 흡연자가 다른 장소로 간 후에도 미세입자로 배출될 수 있다. 흡연한 후 1 마이크로미터 이하의 입자가 나오는 시간은 평균 1분으로, 이는 약 8.7번의 호흡을 하는 동안 나오는 입자다. 이 교수는 “결국 간접흡연의 피해를 벗어나는 방법은 흡연자의 금연뿐이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