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동맥판막협착증
개흉 수술 불가능한 고령 환자… 사망률 높은 좌관동맥 주간부에 스텐트 시술 적용, 성공률 99% 이상

뇌졸중으로 8년째 재활치료를 받고 있던 강모(79)씨는 지난 2008년, 대동맥판막협착증까지 겹치며 생사의 기로에 놓였다. 대동맥판막협착증은 가슴을 여는 큰 수술이 필요했지만, 강씨의 몸은 이미 노쇠해 수술이 불가능했고 약물로 간신히 연명만 하고 있던 상태였다. 그러던 강씨는 2010년 4월 서울아산병원 심장병원에서 국내 최초로 대동맥판막협착증 스텐트 삽입술을 받고 대동맥판막협착증에서 벗어나 건강을 회복했다. 서울아산병원 심장병원 박승정 원장은 "대동맥판막협착증은 통상 대수술이 필요하지만, 스텐트 삽입술을 성공함으로써 수술이 불가능한 환자에게도 새로운 삶의 길이 열리게 됐다"고 말했다.

◇퇴행성으로 좁아져, 절반은 5년내 사망

대동맥판막협착증은 심장의 좌심실과 대동맥 사이에 위치한 대동맥판막이 좁아져 심장에서 뿜어낸 피가 밖으로 잘 나가지 못하게 되는 질환이다. 대동맥판막은 심장에서 나온 피가 나갈 때 만나게 되는 일종의 마지막 관문으로, 이 곳이 좁아지면 체내 혈액 공급이 원활하지 못해 실신할 수 있다. 치료받지 않으면 환자 두 명 중 한 명이 증상 시작 후 5년 안에 사망한다. 원인은 선천적 기형과 노화로 인한 퇴행성 변화이다. 국내 유병률은 알려져 있지 않지만, 유럽이나 미국에서는 65세 이상 인구 30%에서 대동맥판막의 퇴행성 변화가 일어나고 이 가운데 2%는 대동맥판막협착증으로 이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박승정 원장은 "대동맥판막협착증은 이뇨제 등을 사용해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지만, 근본적인 치료법은 대동맥판막 인공치환술 뿐이었다"고 말했다.




이미지
서울아산병원 심장병원 의료진은 세계 의학교과서의 내용을 바꿨을 만큼, 선도적인 스텐트 삽입 기법을 개발했다. / 신지호 헬스조선 기자 spphoto@chosun.com
◇스텐트 삽입술 국내 최초 성공

대동맥판막 인공치환술은 가슴을 열고 대동맥판막을 인공판막으로 바꿔주는 수술이다. 전신마취 상태에서 가슴뼈를 자르고 심장을 멈추게 한 뒤 실시하기 때문에 수술 시간과 회복기간이 길다(수술시간 3시간 이상·입원기간 2주 이상). 환자의 다수가 노년층인데, 대수술을 감당할 체력이 부족해 수술이 불가능한 환자가 많았다.

대동맥판막 인공치환술을 대체할 수 있는 치료가 스텐트 삽입술이다. 이 시술법은 2002년 프랑스에서 세계 최초로 실시됐고, 국내에는 서울아산병원 심장병원이 2010년 처음 도입했다. 일반 스텐트 삽입술처럼 스텐트를 통해 막힌 대동맥판막을 넓혀주지만, 스텐트 안에 인공판막을 넣어 대동맥판막의 기능을 대체하게 만든다. 박 원장은 "스텐트 삽입술은 수면마취와 국소마취를 병행해 1시간 남짓이면 끝난다"며 "환자의 체력 소모가 거의 없어 고령이나 다른 동반 질환 때문에 개흉수술이 불가능한 환자에게 알맞다"고 말했다. 스텐트 삽입술 후 입원기간은 2~3일이면 될 만큼 회복기간도 짧다. 서울아산병원 심장병원은 지금까지 30여 명의 환자에게 이 시술을 했다.

◇협심증치료법, 전세계 의학교과서 바꿔

서울아산병원 심장병원은 대동맥판막협착증 스텐드 삽입술뿐 아니라 각종 심혈관질환의 스텐트 시술을 선도하고 있다. 과거에는 3개의 관상동맥 가운데 가장 중심이 되는 좌관동맥 주간부에 문제가 생기면 수술 외에는 방법이 없었다. 이 곳을 잘못 건드리면 즉사할 수도 있는 만큼 반드시 눈으로 직접 확인하고 수술해야 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병원은 2008년 이 관상동맥에도 스텐트 시술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세계 최초로 증명했고, 그 이후 전세계 의학 교과서의 내용이 '좌관동맥 주간부에도 스텐트 시술을 적용할 수 있다'로 바뀌었다. 서울아산병원 심장병원이 이런 결과를 낼 수 있었던 이유는 심장병원 내에 협심증 및 심근경색증센터·심장영상센터·판막질환센터·심방세동센터·심장병예방재활센터·심부전심장이식센터·혈관질환센터 등 7개의 심혈관질환 전문센터를 운영하며 꾸준한 임상 노하우를 축적하고 있기 때문이다. 박승정 원장은 "지난해 9월에는 아시아 최초로 '대동맥판막 시술 국제학술회의'를 열어 라이브 시술을 시연하기도 했다"며 "협심증 및 심근경색증에 대해서는 연간 2000건 이상의 스텐트 삽입술을 해 99%이상의 성공률을 기록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