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직장인 피로 해소에 도움되는 지하철 '쪽잠'법
박노훈 헬스조선 기자 | 이미진 헬스조선 인턴기자
입력 2011/12/16 09:21
◆총 4단계 수면 상태 중 2단계를 넘지는 못해
잠은 총 4단계로 이뤄진다. 1~2단계는 수면 초기단계, 3단계는 제일 편하고 깊게 잠든 상태, 마지막 4단계는 꿈을 꾼다. 잠은 1단계 5%·2단계 50%·3단계 20%·꿈 25%로 구성돼야 깼을 때 개운하다. 이 4단계는 60~90분 주기로 돌아가지만, 대부분의 직장인들은 지하철을 1시간 이상 타지 않는다. 어렵게 차지한 자리에서 잠이 드는 시간까지 감안하면 기껏 10~20분을 자는 것이다. 결국, 지하철 쪽잠은 수면의 얕은 단계인 1~2단계에만 머물고, 피로를 씻겨줄 총 4단계의 수면이 이뤄지지 않아 정상적인 잠에 비해 피로감을 더 느낀다.
◆그래도 잘 수 있을 때 자는 게 일과에 도움 돼
쪽잠은 정상적인 수면보다 피로감을 더 느끼지만 그렇다고 쪽잠을 참으라는 것은 아니다. 얕은 단계의 수면으로부터 정신을 차릴 때까지 잠시 피로감을 느끼는 것이지, 결과적으로 몸은 휴식 상태에 머물렀기 때문이다. 일과 시간 전체를 생각했을 때 피곤함을 덜 느끼게 하는 데 도움이 된다. 10~20분의 수면시간은 1단계에만 머무를 수도, 2단계까지 접어들 수도 있다. 2단계에서는 옆사람에게 자기도 모르게 기댈 수 있다. 이는 비교적 편하게 잠이 들었다는 증거다. 얕은 잠을 자더라도 옆 사람이나 지하철 가장자리 ‘바’(bar)에 기대면 상대적으로 개운한 잠을 잘 수 있다. 또, 쪽잠의 질을 결정하는 것은 간밤에 숙면을 취했는가의 여부다. 쪽잠을 5분만 자도 개운한 사람은 그 전날 푹 잤다는 방증이다.
◆다른 사람에게 피해주지 않고 쪽잠 자는 방법
우선, 기댈 무언가가 있으면 좋다. 사람에게 기대는 것이 가장 좋지만,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따라서 지하철 좌석 끝 ‘바’가 있는 곳이 가장 편하게 잘 수 있다. 바가 없더라도 방법은 있다. 등받이를 이용하는 방법으로, 지하철 등받이는 고정 형태이기 때문에 엉덩이를 5㎝가량 앞으로 빼고 고개를 뒤로 젖힌다. 다만, 고개를 뒤로 젖히면 저절로 입이 열리고 혀가 뒤로 말려 기도가 막히기 때문에 코를 골 수 있다. 옆 사람에게 피해주지 않는 선에서 고개를 약간만 옆으로 기울이면 혀도 말리지 않고, 기도도 열려 코도 골지 않는다. 고개를 앞으로 꾸벅꾸벅하며 조는 것은 목에도 무리가 가고, 정신의 이완효과도 줄어든다. 좌석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버스나 기차를 탔다면, 의자를 15~30도 뒤로 젖히고 고개도 15도 옆으로 돌려 잠을 자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