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플란트

"임플란트 인공뼈 이식 수술, 자가혈 성분 섞으면 빨리 굳어"

김경원 헬스조선 기자

손동석 대구가톨릭대병원 구강악안면외과 교수

이미지

손동석 대구가톨릭대병원 구강악안면외과 교수. /국제구강임플란트학회 제공

"임플란트 시술을 할 때 잇몸뼈가 부족한 사람은 성장인자를 농축한 혈소판농축섬유소(PRF)나 농축성장인자(CGF)를 인공뼈 가루에 섞어 이식하면 자신의 뼈를 이식하는 것과 유사한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지난 6~9일 서울에서 열린 국제구강임플란트학회 학술대회 대회장을 맡은 손동석 대구가톨릭대병원 구강악안면외과 교수는 "임플란트 환자 중 40% 이상은 잇몸뼈의 양이 부족해 골이식이 필요하다"며 "자신의 턱·다리·엉덩이 뼈를 이용한 자가골이식이 가장 좋지만, 자가골이식이 불가능한 경우는 소뼈나 사체뼈 등을 가공한 인공뼈 가루를 쓰는데 아무래도 자신의 뼈보다 효과가 떨어진다"고 말했다. 손동석 교수는 "하지만 인공뼈 가루에 PRF나 CGF를 혼합해 이식하면 뼈가 굳는 기간이나 임플란트의 예후가 인공뼈만 쓸 때보다 훨씬 좋다"며 "뼈가 단단히 굳는 데 자가골이식은 4개월, 인공뼈이식은 6~8개월, 인공뼈에 PRF나 CGF를 섞은 인공뼈이식은 4~6개월 정도 걸리고, 또 PRF나 CGF를 쓰면 수술 후 통증이나 부종, 출혈이 줄어드는 효과도 있다"고 말했다. 이번 학회에서 집중 논의된 이 시술법은 현재 국내에도 도입돼 있다.

임플란트 이식에 꼭 필요한지 논란이 많았던 컴퓨터단층촬영(CT)에 대한 가이드라인도 이번 학술대회에서 마련됐다. 손 교수는 "임플란트 시술 중에는 아래 앞니 등과 같이 치조골량을 쉽게 파악할 수 있을 때와 상악동 주변 윗니 등과 같이 치조골량의 파악이 어려울 때가 있다"며 "후자의 경우 CT를 찍어 치조골량을 확인하면 되고, 전자는 CT를 찍지 않아도 된다"고 말했다. 이 밖에 흔치는 않으나 턱뼈에 암이 의심되는 경우 등에는 CT를 찍어 보아야 한다.

이번 학술대회에서는 바람직한 임플란트 시술법에 대한 논의도 이뤄졌다. 손동석 교수는 "임플란트 성공률을 높이려면 주변 치아, 잇몸, 잇몸뼈 상태에 맞춰 시술해야 하는데, 턱없이 낮은 가격을 제시하는 치과는 살릴 수 있는 자연치아를 뽑아 임플란트를 하도록 유도하거나 골이식이 필요한데도 임플란트만 시술하기도 한다"고 말했다. 손 교수는 "환자의 자연치아를 최대한 보존하려고 노력하거나, 한 곳에서 오랫동안 자기 이름을 걸고 진료하는 치과에서 시술받는 것이 안전하다"고 말했다.

☞PRF와 CGF

PRF와 CGF는 사람의 혈액에 들어 있는 성장인자 농축 성분이다. 최근 임플란트를 위해 인공뼈 이식을 할 때 환자의 피를 약간 뽑아 두 성분을 분리해낸 뒤 인공뼈 가루에 혼합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嶺뚮씭�섓옙占� �곌랬�� �좎럥�삼옙占�

�좎떬�낅츩�브퀗�h땻占� �좎럩裕놅옙��쇿뜝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