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

미니벨로 타면 '러닝머신 달리듯' 칼로리 소모한다

김태열 헬스조선 기자

자전거별 운동효과 & 구입 Tip

일단 자전거로 운동을 시작하려고 마음 먹으면, 어떤 자전거를 사야 하는지가 고민이다. 본격적인 운동이 목적이면 로드바이크(사이클)나 산악자전거(MTB)를 고려할 필요가 있고, 가벼운 산책 겸 운동이나 출퇴근에 쓰려면 하이브리드 자전거나 미니벨로가 제격이다. 자전거 동호회에 가입해 상담해 보고 구입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하이브리드 자전거=가장 무난한 자전거이다. 로드바이크의 제동력과 방향 전환이 용이한 MTB의 장점을 합쳤다. 주말 공원에서 타거나 동네 산책용, 출퇴근용으로 쓰기에 적합하다. 언덕길을 오르기 힘든 노약자를 위해 소형 모터를 달아서 자동 주행이 가능하게 한 제품도 있다.

▶'MTB스타일'로 만든 대중적인 하이브리드 자전거는 10만~20만원대면 무난한 제품을 구입할 수 있다. 대표적인 동호회인 '자전거로 출퇴근하는 사람들(자출사)'의 회원은 30만명이 넘는다(cafe.naver.com/bikecity).




이미지

(왼)로드바이크, (오)미니벨로
로드바이크(사이클)=싸이클은 무릎관절에 특히 효과적인 스포츠이다. 싸이클은 관절질환이 있을 때 병원에서 물리치료로도 쓰일만큼 유용한 운동이다. 하체근육 발달에도 좋다. 안장의 높이, 체형을 고려해 적당한 속도 등으로 단련하면 여성의 경우 잔근육이 적당히 발달한 날씬하고 섹시한 다리를 만들 수 있다.

▶입문용은 80만~90만원선에서 시작하며 1000만원이 넘어가는 초경량 특수소재 자전거까지 있다.‘ 도싸’(www.corearoadbike.com)가 대표적인 동호회이다.

미니벨로(접이식 소형 자전거)=일반 자전거보다 바퀴가 작다. 바퀴가 작기 때문에 일정 이상의 속도를 내려면 쉴 새 없이 페달을 굴려야 하므로 러닝머신이 따로없다. 반면 지면이 고르지 못한 곳을 장시간 주행하면 그 충격이 고스란히 척추나 다리 관절에 전달되므로 되도록 포장된 자전거 전용도로에서만 타는 것이 좋다.

▶10만~40만원대까지 있다. '내 마음 속의 미니벨로'(cafe.naver.com/minivelobike)라는 동호회가 유명하다




이미지

리컴번트
리컴번트(누워서 타는 자전거)=복근(배), 심근(심장), 대퇴사두근(허벅지 앞쪽 근육) 등을 강화하는 기능이 있다. 척추에도 도움이 된다. 서있는 자세의 허리에 100㎏의 힘이 가해진다면 자전거 탈 때 앉은 채로 허리 굽힌 자세는 허리에 185㎏, 누워있는 자세는 25㎏의 무게가 가해진다. 따라서 허리가 약한 사람에게 권장한다. 자전거를 장시간 타면 회음부가 압박돼 혈액순환이 나빠질 수 있는데, 리컴번트 자전거는 회음부 압박이 없기 때문에 전립선질환이 있는 장년층에게도 좋다.

▶100만원대부터 1000만원대까지로 가격은 다소 비싼 편이다. 동호회 중에 '벤트라이더'(cafe.daum.net/bikee)가 유명하다.




이미지

MTB
산악 자전거(MTB)=산악 질주용이므로 바퀴 지름이 일반자전거보다 2배 정도 두껍다. 따라서 초보자들은 다루기 힘들지만 하체근육단련과 전신운동 효과는 훨씬 크다. 오르막길을 오르는 일이 많아 가볍게 제작되며 크로스컨트리와 다운힐 두가지 타입이 있다.

▶MTB에 안전장비와 액세서리 등을 제대로 갖추려면 30만~70만원 정도 필요하다.
대표적인 동호회는 '와일드 바이크'(www.wildbike.com).


헬스조선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