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윌리엄대학 심리학과 케네스 사비츠키 교수팀은 24쌍의 기혼 커플을 대상으로 서로의 등을 맞대고 대화를 나누도록 했다. 실험참가자들은 모두 평소에 그들이 쓰던 문구나 말투를 주로 사용했고 배우자가 자신의 말을 잘 이해할 것이라고 믿고 있었다.
그러나 서로가 서로에 대해 너무나도 잘 알고 있다고 믿었던 탓인지, 아내가 남편에게 ‘여기 너무 더워’라고 말했을 때 남편들은 그 말을 ‘성적인 흥분’을 암시하는 말로 오해하는 등 배우자의 말을 과대 해석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에 대해 사비츠키 교수는 “배우자의 말을 전적으로 다 이해할 수 있고 ‘우리는 의사소통이 원활하다’고 생각하는 자신감이 오히려 의미전달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다. 이런 현상을 '친밀함과 소통의 편견'이라고 한다”며 “낯선 사람과의 대화나 배우자 간의 대화는 의미전달의 정확성에 있어 별반 다를 것이 없다”고 말했다.
한편, 이 연구결과는 ‘실험사회심리학저널(Journal of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에 게재됐으며 미국 과학뉴스 포털 ‘피조그(physorg)’등이 19일 보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