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티라이프
잘 쓰면 참 좋은 ‘AHA & BHA’화장품지침서
강수민 헬스조선 기자 | 사진 백기광(스튜디오100)
입력 2010/10/18 08:34
화장품에 ‘좀’ 관심있는 이들이라면 AHA(아하, Alpha-HydrovyAcid)나 BHA(바하, Beta HydrovyAcid) 성분에 대해 들어 보았을 것이다. 산성을 띠는 이 성분들은 늘어진 모공을 조여주고, 안색을 맑게 해주고, 거친 피부결을 부드럽게 변화시켜 주는 ‘만병통치약’이다.
AHA와 BHA에 들어 있는 약한 산성분이 피부 맨 윗부분의 각질층을 얇게 녹여주기 때문이다. 두꺼운 각질이 제거되면 그 밑에 건강한 세포들이 표피 위로 올라올 수 있다. 건성피부나 지성피부, 여드름피부 고민은 주로 각질주기가 일정하지 않아 생기는데 약한 필링효과를 주면 피부톤을 고르게 하고, 피부감촉이 개선되며, 모공 속에 노폐물이 쌓이는 것을 막아 여드름을 예방하기도 한다. 피부표면이 고르게 변해 다른 기초제품의 흡수를 돕는다. 피부에 자극을 줄 수 있는 굵은 입자의 스크럽제와 달리 바르는 양과 횟수만 조절해도 부드럽게 각질을 제거할 수 있다. 이것이 AHA와 BHA가‘만능’으로 불리는 이유다.
AHA와 BHA를 구분하려면 라벨의 성분표시를 보면 된다. AHA는 글리콜산, 락트산, 말산(사과산), 구연산, 타르타르산 등 5종, BHA는 살리실산이라고 표시된 것을 찾는다.
피부상태에 따라 AHA와 BHA 구분
심한 여드름, 블랙헤드 등으로 고민이라면 AHA보다는 BHA를 쓰는 것이 좋다. 살리실산은 살균기능이 있으며 모공 주변환경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반대로 보습이나 두꺼운 각질제거 기능을 우위에 둔다면 AHA를 택한다.
AHA 농도는 5~10%, BHA는 0.5~2% 이내
너무 강한 산성은 피부에 염증을 일으키거나 흉터를 남길 수 있다. 《나 없이 화장품 사러가지 마라》의 저자 폴라 비가운은 “BHA는 5~10%에서 BHA는 1~2%에서 최상의 효과를 낸다. 나라마다 허용기준이 조금씩 다른데, 한국에서 BHA는 0.6%까지만 사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런 비슷한 이유로 AHA와 BHA는 함께 사용하지 않아야 한다. 또 같은 산성계열인 비타민C, 레티놀도 마찬가지다.
로션이나 젤타입을 선택하라
클렌저처럼 바른 뒤 씻어내야 하는 화장품은 피부에 머무르는 시간이 5초 내외로 짧다. AHA, BHA가 제기능을 발휘하기에는 부족한 시간이다. 로션이나 젤처럼 피부에 머무는 시간이 긴 타입의 화장품을 선택한다.
낮에 사용할 때는 자외선차단제와 함께
피부과 시술을 받고나면 한동안 자외선차단제를 반드시 바르라고 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AHA, BHA 제품을 사용할 때에는 가급적 밤에 사용하거나 낮에는 자외선차단제를 함께 사용한다. 새로 올라온 약한 피부는 자외선 방어에 약하기 때문에 색소침착을 일으키거나 붉게 달아오를 수 있기 때문이다.
AHA 대신 상한 우유, BHA 대신 으깬 아스피린
AHA, BHA 제품이 여의치 않을 때는 상한 우유나 아스피린을 이용한다. AHA은 상한 우유에서도 발견된다. 상한 우유를 물에 풀어 세안 시 사용하면 피부표면이 부드러워지는데 이는 우유 속 AHA 성분-젖산(Lactic Acid)이 각질을 제거하기 때문이다. BHA는 살리실산으로 같은 성분이 아스피린 내에도 들어 있다. 하지만 제품의 농도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힘들다는 단점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