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질환
발병 후 6~8년 지나면 말기 뇌 전체 위축… 치료 불가능
김경원 헬스조선 기자
입력 2010/09/08 08:30
치매 원인과 진행과정
발병 원인
알츠하이머병에 걸리면 뇌에 아밀로이드 단백이 침착되면서 신경섬유가 비정상적인 다발 모양으로 뭉친다. 그러면 뇌신경세포가 죽어서 뇌가 쪼그라들고, 따라서 정상적인 뇌 기능이 이뤄지지 않아 치매가 나타난다. 아밀로이드 단백이 뇌에 쌓이는 이유는 아직까지 모르며, 현재까지 발병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거나 완치하는 방법은 없다. 파킨슨병 등도 뇌 기능의 퇴화와 함께 치매를 동반할 수 있는데, 역시 예방법이나 완치법은 없다. 그러나 혈관성 치매는 뇌졸중·고혈압·고콜레스테롤혈증 당뇨병 등 원인 질환을 관리하면 발병을 막을 수 있고 치료도 가능하다.
사전 증상: 경도인지장애
경도(輕度)인지장애는 일상생활에는 어려움이 없으나 기억력 판단력 실행력 등의 여러 인지기능 가운데 한 가지가 정상보다 떨어진 상태를 말한다. 인지기능장애가 발생했다고 100% 치매로 이어지지는 않지만, 상당수는 치매가 뒤따른다. 치매에 관한 여러 연구를 종합하면 '최근의 일을 기억하지 못하는' 경도인지장애자 중 10~15% 정도가 1년 뒤 알츠하이머병으로 진행된다.
초기: 최근 벌어진 일 기억 못함
알츠하이머병은 발병해서 말기에 이를 때까지 8~10년 걸린다. 초기에는 주로 최근 사건에 대한 기억력이 떨어진다. 뇌에서 기억력을 담당하는 해마를 시작으로 측두엽 부위가 손상되기 때문이다. 최근 일을 자주 잊어버린다거나 조금 전에 했던 말이나 질문을 되풀이 한다. 예전과 달리 날짜와 시간에 대해 잘 모른다거나 대화 중 정확한 단어가 떠오르지 않아 머뭇거리고, 돈 계산이 자주 틀린다. 관심과 의욕이 떨어지고, 짜증이 늘고, 남을 의심하는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가까운 주위 사람들이 눈치챌 정도로 치매가 진행되지만 아직은 혼자 지낼 수 있다.
중기: 자기 집이 어디인지 망각
통상 3~4년쯤 지나면 누구나 치매 환자라고 느낄 정도가 되며, 이때부터는 혼자 지내기 어렵다. 뇌가 받아들인 정보를 통합하는 부위인 두정엽과 전두엽까지 손상된다. 때문에 집주소나 전화번호, 가까운 가족 이름, 출신학교 등 옛날 기억조차 잊어버린다. 계절을 모르고, 늘 다니던 익숙한 곳에서 길을 헤맨다. 따라서 혼자 외출하는 것이 불가능해진다. 또 옷을 입거나 머리를 빗고, 화장을 하는 데도 도움이 필요하다. 얌전했던 사람도 의심이 심해지거나 폭력적으로 변하고, 환각을 경험하는 단계이다.
말기: 자녀 못 알아보고 대소변 못 가림
발병 6~8년쯤 지나 뇌가 전체적으로 위축된 상태로, 운동영역과 감각영역을 담당하는 부위까지 손상된다. 이때부터는 치매 진행을 억제하기 위한 치료가 불가능하다. 뇌 기능 이상을 넘어 신체의 운동기능과 감각기능이 약화되기 때문에 폐렴이나 욕창이 나타나기 쉽다. 자신이 누구인지도 모르고, 배우자나 자식을 알아보지 못한다. 혼자 웅얼거리거나 전혀 말을 하지 않는다. 근육이 굳어지면서 거동이 힘들어져 대부분 누워지내게 되며 대소변을 가리지 못한다. 때문에 알츠하이머병 환자는 말기에 이르면 폐렴, 욕창, 요도감염 등으로 사망한다.
도움말=이동영 서울대병원 정신과 교수, 김성윤 서울아산병원 정신과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