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눈이 나빠 한치 물 앞도 안보이는 사람들이 있다. 그렇다고 해서 안경을 끼고 수영하자니 그것도 불편하고, 도수를 넣은 물안경을 물 밖에서까지 계속 끼고 있을 수도 없는 상황. 이들이 콘택트렌즈를 끼고 수영해도 괜찮을까?

고여있는 물 속에 사는 가시 아메바(acanthamoeba)는 렌즈 소독액이나 보존액에서도 번식할 만큼 소독이 어려운 미생물이다. 이 균은 심각한 시력저하를 초래하는 각막염을 일으킨다. 다행히 정상적인 눈에는 감염이 잘 안지만, 콘택트렌즈를 착용하는 사람은 무려 450배나 감염 확률이 높다. 그 때문에 식품의약품안전청에서도 눈병 예방을 위해 샤워, 온수욕조 사용, 수영 등 물과 관련된 활동을 하기 전에는 반드시 콘택트렌즈를 제거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가장 좋은 방법은 라식 수술, 라섹 수술 등의 시력 교정 수술을 받는 것이다. 수영장에서는 라식보다는 라섹 수술이 더 안전하다. 라섹 수술은 시력이 완전히 회복되는 기간은 길지만, 수술 후 수영을 해도 되는 시기는 라식 수술보다 빠르다. 라섹 수술 3일 후에는 비누세수가 가능하고, 상피가 완전히 재생되는 2주 후부터는 수영을 해도 된다.

하지만 라식․라섹 수술을 받지 않은 상태에서 당장 며칠 뒤 물놀이를 가기로 예정돼 있다면 최선의 방법은 무엇일까? 가장 좋은 방법은 일반 렌즈가 아닌 일회용 소프트렌즈를 착용하는 것. 이는 일회용 렌즈는 수영장에서 사용 후 버리면 되기 때문에 오염물질이나 세균이 침착될 염려가 없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