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비인후과

고도난청 환자는 달팽이관에 직접 전극 심어

김맑아 헬스조선 기자

인공와우 삽입술

이미지

①어음처리기가 소리를 디지털 신호로 바꾼다. ② 디지털 신호로 바뀐 소리가 코일을 통해 임플란트로 전달된다. ③ 디지털 신호가 전기 신호로 바뀌고 달팽이관 안에 삽입된 전극으로 전달된다. ④ 전극으로 전달된 신호가 달팽이관의 청각신경 섬유를 자극해 소리 신호가 뇌 로 전달된다.
난청이 아주 심해 보청기도 효과가 없으면 인공와우 삽입수술을 고려할 수 있다. 인공와우 삽입술은 달팽이관에 실처럼 가느다란 전극을 심는 것. 수술 후에 보청기 같은 외부 장치를 귀에 착용하면 이 장치가 외부 소리를 전기 신호로 바꾼 뒤 달팽이관에 심은 전극에 전달한다. 전극이 청신경을 직접 자극한 뒤 신호를 대뇌의 청각 중추로 올려 보내 소리를 인식한다. 이승환 한양대구리병원 이비인후과 교수는 "인공와우는 노화되거나 손상된 청신경을 최대한 자극해 소리를 인식하게 한다"고 말했다.

이 수술은 보청기로도 소리를 들을 수 없는 고도난청(양쪽 청력이 70db 이상이며 어음변별력이 50% 미만)일 때에만 시도한다. 일반적으로는 보청기가 인공와우보다 효과가 좋고, 수술 후에도 어차피 외부 장치를 끼어야 하므로 굳이 보청기 대신 인공와우 삽입술을 받을 필요가 없다. 고도난청이 아니면 건강보험 적용이 되지 않아 수술비도 한쪽 귀에 2000만원 수준으로 비싸다. 보험이 적용되면 한쪽에 400만~500만원선이다. 인공와우도 보청기와 마찬가지로 재활 훈련을 받아야 한다. 재활 방법은 보청기와 비슷하지만 기간은 6개월~1년 정도 더 길다.




占싼딅뮞鈺곌퀣苑� 占쎌뮆�э옙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