척추·관절질환
50대 발병률 높은 ‘척추협착증’
헬스조선 편집팀
입력 2009/12/30 09:44
또한 추관절비대가 생겨 척추관이 좁아지면서 관절의 비정상적인 운동이 일어날 수 있다. 초기증상은 허리 부위에서 막연히 통증이 일어나기 시작하며 뻣뻣한 느낌이 자주 들 수 있다. 증상이 심해지면 보행에 지장을 받을 정도로 다리가 둔하고 저리며 경련이나 마비가 동반되기도 한다. 허리를 구부리고 앉거나 벽을 짚고 구부리면 증상이 완화되며, 시간이 흐를수록 쉬지 않고 걸을 수 있는 거리가 점차 감소한다.
척추관 협착증의 치료 방법으로는 첫째, 경막외내시경과 신경성형술을 들 수 있다. 경막외내시경은 3차원디지털칼라카메라, 제논라이트, 칼라모니터 등을 이용한다. 이는 혈관신경 유착을 제거해 신경기능을 회복시켜 척추관절과 디스크, 인대의 기능을 바로잡는다. 또 디스크, 윤상인대와 횡인대, 추관절인대로의 신경기능을 회복시켜 정상적으로 힘이 주어질 수 있는 탄력적인 상태로 회복시킨다. 결국, 허리펴고 걸을 수 있다는 얘기다. 둘째, 신경공확장술이 있는데, 이는 경막외내시경 신경성형술로 유착을 제거한 후 컴퓨터로 촬영하면서 재유착을 방지하고 신경공을 더욱 확장시키기 위해 시행한다.
박병철 박앤강 마취통증의학과 원장은 “이 밖에 병든 조직과 골극의 흡수를 촉진해 재생시키는 방법 등이 있다”면서 “이런 모든 것들이 척추협착증의 증상을 크게 완화시키는데 도움을 주지만 반드시 전문의와 상담 후 시술해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