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습기 청소법에 따라 기계의 수명이 줄 수도 있고 건강에 해로울 수도 있다. 반대로 기계의 수명이 늘 수도 있고 건강에 좋을 수도 있다. 쉬운 것 같으면서도 알쏭달쏭한 가습기 청소법, 제대로 익혀 올 겨울을 건강하게 나보자.




이미지

1. 긴 솔로 물통 내부에 붙어 있는 물때를 제거한다

가습기의 물이 떨어졌다고 하더라도 표면에 물방울이 남는 경우가 많다. 또한 사용하고 남은 물이 다음날까지 담겨 있는 일이 빈번하기 때문에 균과 곰팡이가 번식하기 쉽다. 새 물을 담기 전 남은 물을 버리고 긴 솔을 이용해 통 안과 벽을 씻어내 주는 것이 좋다. 물통의 입구에 손이 들어간다면 부드러운 천을 이용해 닦아내도 된다.

2. 1주일에 2~3번은 식초나 뜨거운 물로 물통을 살균, 소독한다

세제를 사용할 경우 아무리 깨끗하게 씻어도 찌꺼기가 남는다. 이렇게 남은 세제는 수증기를 통해 배출되어 실내 공기를 오염시킬 수 있으므로 세제사용은 자제하는 것이 좋다. 대신 인체에 무해한 베이킹 소다, 식초, 소금 등을 1~2스푼 정도 물에 풀어 헹궈주거나 뜨끈한 물을 담아서 10분 이상 살균시켜주는 것도 좋다. 이때 이물질이 남아 가습기의 수명을 떨어뜨리지 않도록 자주 헹궈준다.

3. 작고 부드러운 솔로 진동자 주변의 이물질을 제거한다

동전 모양의 진동자가 있는 수조부 부분은 물과 직접 닿아 수증기를 만들어내므로 청결 상태가 중요하다. 또한 진동자에 물때가 낄 경우 진동자의 수명이 급격하게 떨어지므로 이물질이 끼지 않도록 관리한다. 진동자의 주변과 표면은 부드러운 솔로 살살 닦되 뾰족한 것으로 흡집 내지 않도록 주의하자.

4. 황색 이물질이나 하얀 가루는 면봉에 식초를 뭍여 닦아낸다

오래 사용한 가습기일수록 수조부 내에 황색 이물질이나 하얀 가루가 뭉쳐 있는 것을 종종 볼 수 있다. 이때에는 면봉에 식초를 묻혀 닦아낸 뒤 물에 적신 타월로 닦아낸다. 이런 물질에 대해 리홈 관계자는 “수돗물에 녹아 있는 석회질이나 기타 물질들로 추측되며 건강에 해를 끼치는 건 아니다”라고 말했다.

5. 송풍구에 물이 들어가지 않도록 주의하며, 수조부 주변 물때를 없앤다

주변 물때도 솔을 이용해 살살 씻어내야 한다. 간혹 물을 넣어 사용하는 제품이니 안심하고 샤워기를 이용해 청소하는 사람들이 많다. 이럴 경우 기계 내부에 물이 들어가 고장의 원인이 된다. 가습기 내부로 물이 가장 많이 들어가는 송풍구에 물이 들어가지 않도록 물을 버릴 때는 반드시 진동자 방향으로 비워준다.

6. 가습이 직접 올라오는 분무통을 꼼꼼히 닦아준다

보통 가습기 청소 시에 이 부분을 잊는 경우가 많지만 분무통과 몸체도 매일 씻어야 한다.수증기가 올라오는 곳이므로 세제는 사용하지 않아야 하며 청소용 솔을 이용해 안쪽 부분까지 닦아주면 된다. 1주일에 한 번 정도 햇볕이 잘 드는 곳에 건조시켜 사용하여 세균 번식을 예방하도록 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