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크로비오틱 요리 전문가 이와사키 유카 인터뷰

이미지
홍진표 헬스조선 PD jphong@chosun.com
"율무를 쪄서 생강, 버섯, 연근, 양파 등을 넣고 볶은 것과 버무려 속을 만들고 파이 껍질은 통밀가루로 반죽했어요. 브로콜리 샐러드는 두부와 조청으로 만든 소스를 사용했어요."

'자연을 통째로 먹는 건강 식단'인 마크로비오틱 요리 전문가 이와사키 유카<사진>씨를 만나기 위해 지난 20일 그가 유창한 우리말로 강의하는 서울 모 백화점의 문화센터를 찾았다. 마크로비오틱은 일본에서 유행하고 있는 장수 식단으로, 국내에서는 SBS '스타일'이라는 드라마를 통해 널리 알려졌다. 유카씨는 이 드라마에서 셰프로 나온 류시원에게 요리를 지도했다. 강의를 마친 그는 율무 파이와 브로콜리 샐러드를 기자에게 권했다. 사찰 음식같은 무심하고 담백한 맛인데, 먹고 나니 몸이 가벼워지는 느낌이 들었다.

"마크로비오틱을 실천하면 입맛이 민감해져서 자극적인 맛을 멀리하게 돼요. 재료 고유의 맛을 살린 담백한 맛에 끌리게 되는 거죠." 무심코 버리는 브로콜리 줄기도 아삭아삭하게 씹혔다. "재료를 통째로 다 먹는 일물전체(一物全體)의 철학이 마크로비오틱의 기본"이라며 "우리가 흔히 버리는 꼭지나 껍질 부분이 생명이 일어나는 핵심 부분이라 에너지가 가장 많다"고 말했다.

유카씨가 마크로비오틱에 관심을 가지게 된 것은 아토피성 피부염과 한의원 덕분이었다. "몇년 전 남편을 따라 한국에 온 뒤 어릴 때부터 앓던 아토피성 피부염이 심해져서 한의원에 갔어요. 한의사는 내가 소음인이니 체질에 맞는 음식을 먹으라고 하더군요. 영양사인 저는 그때까지 비타민, 미네랄이 얼마인지 시시콜콜(micro) 따졌지, 한번도 내 몸 상태에 맞추어 무엇을 어떻게 먹어야 하는지 전체적으로(macro) 고민해 보지 않았어요. 그때 받은 충격이 음양조화를 기본으로 하는 마크로비오틱 요리를 익히는 계기가 됐죠."

마크로비오틱 식단은 한의학처럼 모든 식품에 음양(陰陽)이 있다고 본다. 따라서 음과 양의 에너지를 고루 받아 조화를 유지하려면 음성 식품과 양성 식품을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게 섭취해야 한다. 고기나 계란같은 동물성 식품과 마요네즈, 설탕같은 가공식품을 삼가는 것도 이런 음식이 너무 지나친 에너지를 가지고 있어 우리 몸의 균형을 깰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아무리 이름 난 건강법도 열이면 열 명에게 다 맞지는 않습니다. 마크로비오틱은 개인의 몸 상태나, 계절, 기후, 라이프스타일 등에 따라 각자에게 맞는 맞춤식단을 짤 수 있는 것이 가장 큰 장점이에요."

특히 한식은 고기를 쌈에 싸서 먹고, 장어는 생강과 같이 먹는 등 이미 음양이 잘 조화된 음식이 많아서 마크로비오틱을 응용하기 쉽다. 유카씨는 한국 식재료로 쉽게 만들 수 있는 요리를 모은 요리책 '자연을 통째로 먹는 마크로비오틱 밥상'(비타북스 펴냄)을 최근 냈다. 그에게 초겨울에 추천하는 마크로비오틱 음식을 물었다.

"뿌리 채소는 몸을 데우는 양성(陽成)식품이라 추운 날씨에 좋아요. 마크로비오틱은 연근이 기관지에 좋다고 봐요. 참기름에 구운 연근에 들깨가루와 다진 양파, 간장을 넣은 양념장을 넣고 한번 더 구워 연근 스테이크를 만들어 드세요. 연근 꼭지는 얇게 썰어서 말렸다가 차로 끓여서 기침할 때 마시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