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서울병원·헬스조선 공동기획-나의 희망이야기⑫
심장 이식 두번 한 한남탁(32)씨

이미지
겨울에는 스키 등 스피디한 운동을 즐긴다는 한남탁 씨. 심장이 뛸 수 있어서 너무 감사하다고 말한다. /삼성서울병원 제공

원인 모르는 확장성 심근증
1차 이식 후 무절제한 생활

8년 뒤 다시 찾아온 통증
기적같은 심장 재 이식
이젠 3명의 몫을 산다


거의 사흘 만에 눈을 떴다. 중환자 무균실 유리 너머로 부모님의 붉은 눈이 보였다. "형, 수술 잘 됐대" 동생은 소리 없이 입 모양만으로 그렇게 말했다. 내 가슴에 세 번째 심장을 맞이한 날이었다.

대학교 2학년이던 1998년, 술 좋아하던 내가 며칠째 연달아 술을 마시고 집으로 들어가려는데 가슴과 배가 너무 아팠다. 숨은 너무 차 올라 들이 쉴 수도, 내 뱉을 수도 없었다. 술을 너무 많이 마셔 위에 탈이 난 것이라고 생각하고 위 내시경 검사를 받으러 병원을 찾았다. 의사는 고개를 갸우뚱거리며 위가 아니라 심장이 이상하다고 했다. 정밀 검사를 받았더니 다른 사람보다 심장용적이 3~4배 커져 있는 '확장성심근증'이란 병이었다.

피가 제대로 공급되지 않아 피부가 창백해졌다. 손으로 살을 누르면 눌린 자리가 1~2시간 뒤에야 올라왔다. 자고 일어나면 베개맡에 머리카락이 한 움큼씩 빠져 있었다. 가만히 누워 있어도 통증이 생겨 잠을 잘 때도 앉아서 상체를 웅크리고 자야 했다. 급속도로 상태는 악화됐고, 의사는 "심장이식수술 밖에는 대안이 없다"고 말했다.

운이 좋았다. 입원한지 2주일 만에 교통사고로 숨진 뇌사자의 장기가 구해졌다. "심장이 바뀐다니…" 생각만 해도 무서웠지만 바로 수술에 들어갔다. 거짓말처럼 바뀐 심장은 모든 것을 해결해 줬다. 모든 기능이 제대로 돌아왔고, 숨도 잘 쉴 수 있게 됐다. 마치 원래부터 내 것이었던 양 바뀐 심장은 아무 거부반응도 일으키지 않았다.

그러나 수술경과가 너무 좋았던 것이 오히려 화근이었다. 내가 환자였다는 사실은 거짓말처럼 금새 잊혀졌다. 수술 받았다고 다르게 취급 받는 것이 싫었다. 새 심장을 과시라도 하듯 친구들과 술을 마시고 담배를 피웠다. 스피디한 운동도 즐겼다.

그렇게 8년이 지났다. 어느 날 갑자기 심장과 배에 통증이 왔다. 8년 전 그날과 똑같은 증상이었다. 병원으로 가니 심장이 갑자기 괴사(壞死·생체 내 조직이나 세포가 부분적으로 죽는 현상)하고 있다고 했다. 심장 재 이식만이 살길이지만 수술 성공 여부는 보장하기 어렵다고 했다.

이번에도 운은 기막히게 좋았다. 불과 며칠 뒤, 새벽 1시에 갑자기 전화가 왔다. 포항에서 뇌사자가 발생했으니 지금 빨리 수술에 들어가야 한다고 했다. 이젠 정말 죽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에 심장이 내려 앉는 느낌이었다. 그날 새벽, 부모님 몰래 동생만 깨워 병원에 갔다.

운전을 하는 동생에게 쪽지 몇 개를 건넸다. 부모님께 한번도 하지 못한 사랑한다는 말, 동생에게 좋은 형이 못 돼서 미안하다는 말, 친구들이 보고 싶을 거라는 말, 그리고 우습지만 따로 모아둔 돈은 집안 어디어디에 숨겨져 있다는 말까지….

그렇게 수술대에 오르고 나는 세상과 마음으로 작별했다. 그런데 다시 눈이 떠졌다. 기적이라고 밖에 생각되지 않는다. 수술 경과도 '퍼펙트'했다. 대개의 경우 심장 이식을 받아도 5년 정도밖에 살지 못한다는데, 나는 심장이식 적응도가 좋아 관리만 잘하면 보통 사람처럼 오래 살 수 있다고 한다.

나는 한 명이 아닌 세 명의 인생을 살고 있다. 내 몸의 피가 돌아 손이 움직일 수 있는 것도, 내 다리에 피가 돌아 걷는 것도 모두 심장을 주신 두 분의 덕이다. 요즘은 매일 퇴근 후 내가 운영하는 인터넷 카페에서 심장이식을 기다리는 사람에게 상담을 해 준다. 그들을 위해 매달 이벤트를 열기도 한다. 피가 흐르는 내 손과 내 발이 아직도 신기하다. 이 손과 발이 힘든 사람을 위해 쓰여지도록 더 열심히 살아갈 것이다. 내 심장이 뛸 때까지….




이미지
박표원 삼성서울병원 흉부외과 교수
주치의 코멘트

"관리만 잘하면 정상 생활 가능"

한남탁씨의 경우, 원인을 알 수 없는 '특발성 확장성 심근증'이었다. 이 경우 심장이식이 가장 좋은 치료방법이다. 한씨는 1차 이식 수술 후 특별한 합병증도 없고 면역억제제도 잘 복용해 정상적인 생활을 유지할 수 있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흡연, 음주, 과식에다 약 복용도 소홀히 해 심장 관상동맥이 굳어져 재 이식 수술을 했다. 현재까지 심장 재 이식 환자는 한씨가 국내에서 유일하다. 그러나 관리만 재대로 한다면 앞으로도 직장생활, 스포츠, 봉사활동 등을 하며 적극적인 삶을 유지할 수 있다.


/ 배지영 헬스조선 기자 baejy@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