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일반

"백혈병치료제 `글리벡' 내성 원인 규명"

만성 골수성 백혈병치료제 ‘글리벡’이 일부  환자들에게 잘 듣지 않는 새로운 원인이 국내 연구팀에 의해 규명됐다.

가톨릭의대  김동욱(혈액내과)ㆍ정연준(미생물학교실)ㆍ김진우(산부인과)  교수팀은 글리벡 치료시 일부 환자들에게 내성을 일으키는데 관여하는 31개 유전자를 새롭게  발굴했다고 27일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혈액종양학 분야 권위지인 ‘백혈병(Leukemia)’ 8월호에 실렸다.

만성골수성백혈병은 ‘필라델피아 염색체’ 이상에 따른 단백질 변이로  발생하는데 유병률이 인구 10만명당 1~2명 꼴에 달한다. 국내에는 약  1천500여명의  환자가 있는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글리벡은 이 같은 만성골수성백혈병 환자의 약 90% 이상에서 병의 진행을 막는 효과가 있다. 하지만 약 20%의 환자는 글리벡에 대한 내성이 생기고, 이들 환자  대부분은 1~2년 이내에 사망한다.

이 때문에 최근에는 글리벡의 내성을 치료할 수 있도록 개발된 새로운 항암제의 임상시험이 진행되고 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에서 DNA칩 기술을 이용해 내성에 관여하는 31개의 유전자를 새롭게 찾았으며 실제 치료 중인 환자들의 검체를 통해 특정 4개  유전자가  내성을 일으키는 메커니즘도 규명했다.

현재 나머지 27개 유전자의 기능 분석과 함께 글리벡 내성에 원인이 되는  새로운 유전자의 기능을 억제하는 물질을 개발하기 위한 후속연구를 진행 중이라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김동욱 교수는 “이번 연구결과는 글리벡 내성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환자  맞춤형 표적 항암물질’을 개발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헬스조선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