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비 1弗 들이면 입원비 3弗 줄인다"
국내 환자 해마다 50만명 발생… 환자 치료 실태 무관심

국내 당뇨병 환자 401만명. 매년 새로운 당뇨 환자 50만명 이상 발생. 이른바 ‘당뇨(糖尿) 대란’ 시대를 맞아, 국가 질병 관리 차원의 체계적인 당뇨병 관리가 시급하다.

선진국은 수년 전부터 당뇨와의 전쟁을 선포, 정부가 적극 나서고 있다. 미국은 1997년 국가 당뇨예방프로그램(NDEP)을 시행했다. 국가 건강증진계획 ‘헬스피플2010’을 통해 당뇨병 환자의 교육 이수율, 20세 이상 성인의 진단율, 당뇨 관련 심혈관질환 사망자수, 당뇨 사망률 등 주요 지표를 매년 조사하고, 관리한다.

일본은 ‘건강일본21’을 통해 당뇨병 예방을 위해 적정체중 유지율, 일일 평균 보행량, 합병증 발생자수 줄이기 등 총 10개 정책을 펴고 있다.

유럽의 주요 국가들은 1989년에 이뤄진 ‘세인트 빈센트 선언’을 통해 당뇨 관리를 위한 국가 간 연대와 지원을 다짐했다. 미주 지역도 ‘아메리카 당뇨 선언’(DOTA)을 통해 정부와 의사, 환자 단체 등이 연합해 당뇨병 교육과 홍보, 예방 활동 등을 펼치고 있다.

그러나 당뇨병에 대한 우리나라 정부의 대책은 무관심에 가까울 정도이다. 보건복지부는 2002년 당뇨병으로 인한 사망률을 인구 10만명당 22명에서 2010년에는 19명으로 낮추겠다는 등 국민건강증진 종합계획을 발표했다. 그러나 2003년 인구 10만명당 사망환자수가 25명으로 오히려 늘어나는 등 행정이 거꾸로 가고 있다는 비판마저 나오고 있다.


먼저 당뇨병의 현황과 실태를 파악해야 대책 등 해답을 찾을 수 있지만, 우리나라는 3년마다 실시되는 국민건강영양조사 등을 통해 고작 발병률 정도만 파악하고 있는 실정이다. 당뇨 환자 중 발 절단 비율이나 망막검사, 치과검진, 아스피린 복용률 등 의료서비스이용 실태와 치료 현황에 대한 조사는 거의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

현재 정부의 당뇨 대책은 2000년부터 보건소에서 시행하고 있는 ‘고혈압·당뇨환자 관리사업’이 전부이다. 예산은 담배 판매로 얻어지는 건강증진기금 중 12억원이 고작이다. 보건소마다 배당되는 실제 당뇨 관련 예산은 300만원 정도이다.

건강보험 심사평가원 한오석 상무는 “당뇨병은 조기발견과 환자교육을 통해 관리해야 의료비 부담도 줄어 든다”며 “국가에서 질병을 감시하고 관리하는 체제를 구축해야 한다”고 말했다. 미국 질병관리센터의 조사에 따르면, 환자 교육에 1달러를 쓰면, 입원비가 2~3달러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김철중의학전문 기자 doctor@chosun.com ( 김동섭 기자 dskim@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