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음성 난청 한 번 발생하면 회복 불가능
|
귀 전문 소리이비인후과 난청센터 박홍준 원장팀은 지난 한 해 동안 병원을 찾은 20~30대 남성 난청 환자 165명을 조사한 결과, 소음성 난청이 41%인 67명이었으며, 소음성 난청 환자의 70%인 47명은 군 생활 중 사격·포격 훈련 후 증세가 시작된 ‘음향 외상성 난청’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음향 외상성 난청이란 아주 큰 소리 때문에 청각기관의 유모세포가 손상돼 나타나는 난청. 130~140dB에 달하는 총성에 1회만 노출돼도 고막이 뚫리면서 즉각적인 감각 신경성 난청이 생길 수 있으며, 방치하면 영구적인 음향 외상성 난청으로 남게 된다.
난청이 생기면 듣기가 어려울 뿐 아니라 만성피로·불안·스트레스·불면증·우울증·인지장애까지 초래돼, 심한 경우 정상적인 사회생활도 힘들어진다. 이 때문에 미군에선 사격시 귀마개 착용이 의무화돼 있다.
박홍준 원장은 “귀마개를 하면 소음의 크기를 20~50dB 감소시킬 수 있다”며 “사람에 따라 단 한 번의 사격으로 난청이 초래될 수 있으므로, 군은 귀마개 착용을 의무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박 원장은 또 “군에서는 귀가 먹먹해도 참고 지내는 경우가 많은데 발생 초기에 항소염제 등 약물 치료를 서두르면 음향 외상성 난청의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귀가 먹먹하면 즉시 군의관을 찾아 치료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
( 임호준 기자 imhojun@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