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 2011-09-09

폐쇄성수면무호흡증 → 심장질환과 직결, 심장질환 30% 이상 높여

더위가 물러가는 절기라고 알려진 처서(處暑)도 지나고 아침저녁으로 선선한 바람이 불어 잠자기 제격인 계절인 가을의 문턱에 왔다. 가을은 천고마비의 계절이라 하여, 잃었던 입맛도 살아나고 열대야 걱정도 없는 일상상활 최적의 시기를 맞이한 것이다. 그러나 한국인 남성 20명 중 한명 꼴로 앓고 있는 폐쇄성수면무호흡증 환자들은 수면 중 호흡이 멈추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하므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코와 목을 포함하는 상기도가 좁아지면 심혈관계 질환 주의
폐쇄성수면무호흡증은 수면 중에 반복적으로 코와 목을 포함하는 상기도의 어느 한 부분 또는 여러 부분이 좁아지거나 막혀서 발생하는데, 일반적으로 남성의 4~5%, 여성의 2~3%에서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폐쇄성수면무호흡증이 있을 경우에는 주간졸리움, 조간두통, 집중력저하, 기억력감소, 만성피로, 성격 또는 감정변화 등과 같은 여러 가지 증상들이 나타날 수 있으며 이러한 질환이 치료되지 않고 지속되면 고혈압, 부정맥, 심근경색, 심부전, 뇌졸증 등과 같은 심혈관계 질환을 비롯하여 만성기관지염, 폐성고혈압, 폐성심과 같은 폐질환, 성기능 감퇴, 당뇨 등과 같은 심각한 합병증들이 발생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폐쇄성수면무호흡증으로 인한 졸리움 때문에 교통사고, 안전사고와 같은 이차적인 사고의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수면 중 무호흡 발생하면 심장질환 발생율 30% 이상증가
특히, 폐쇄성수면무호흡증이 고혈압, 관상동맥질환, 심부전, 부정맥 등과 같은 심장질환과 아주 밀접한 관련성이 있다는 사실은 이미 여러 연구들을 통해서 밝혀져 있는데, 그 결과들을 살펴보면 폐쇄성수면무호흡증이 동반된 경우 위에서 언급한 심장질환의 발생률이 대략 30~80%까지 높아지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폐쇄성수면무호흡증이 심장질환의 발생 가능성을 높이는 원리는 다음과 같다. 먼저, 수면 중에 상기도의 협착으로 인해 무호흡이 발생해 숨이 멈춰지게 되면 혈액 속의 산소농도가 점점 감소하게 되면서 우리 몸의 보호작용으로 인해 뇌에서 각성현상이 일어나게 된다. 이러한 각성현상은 교감신경계의 과활성화와 수면분절을 일으켜 심장을 비롯한 혈관계에 해로운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이러한 현상이 매일 밤 수십번에서 수백번 이상 반복되면서 심장질환의 발생 빈도가 높아지게 되는 것이다.

양압호흡기 및 제중조절 치료로 조속히 수면건강 되찾아야...
폐쇄성수면무호흡증과 심장질환이 동반된 환자에서 치료는 일반적으로 폐쇄성수면무호흡증 치료와 심장질환 치료를 동시에 진행하게 되는데, 폐쇄성수면무호흡증 치료를 통해 심장질환의 심한 정도가 감소하는 경우를 많이 볼 수 있다. 폐쇄성수면무호흡증의 치료로는 체중조절, 자세치료, 양압호흡기(PAP, positive airway pressure)치료, 구강내 장치(oral appliance), 수술적 치료 등을 비롯한 여러 가지 방법들이 있으며, 이러한 치료 방법들은 각각의 적응증과 장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중 효과가 입증되고 보편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양압호흡기 치료, 구강내 장치, 수술적치료 등을 들 수 있다.

환자에게 가장 적절한 치료 방법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신체검사, 수면다원검사를 비롯한 각종 검사결과와 환자의 상태를 종합적으로 평가해야 하며, 결정한 방법의 치료 성공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전문의와의 치료에 대한 충분한 상담 및 대화가 필수적이다.

서울수면센터 한진규 원장


* 본 기사의 내용은 헬스조선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잠이 인생을 바꾼다

[서울스페셜수면의원]
한진규 원장

고려대학교 의과대학교 졸업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신경과 전공의 수료
국립나주정신병원 신경과 과장
국립보건원 뇌신경질환과 연구원
미국 클리브랜드 클리닉 수면 전임의
미국 수면전문의 자격취득-신경과 최초
싱가폴 수면학교 강사 역임
고려대학교 신경과 교수 역임
대한수면연구회 학술이사
한국수면학회 이사
현 서울수면센타 소장

한진규원장의 올바른 '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