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막이야기
황반원공, 방치하면 시력 잃어… 조기 발견과 치료 중요해
SNU청안과의원
김태완 대표원장
사진 = SNU청안과
황반은 우리 눈의 중심 시력을 담당하는 부분으로 우리 눈에서 빛을 느끼고 색을 보게 해주는, 망막에서도 가장 중심 부분을 의미한다. 망막에는 빛을 감지하는 시세포가 밀집되어 있는데 중심부인 황반과 주변 부위의 시세포 종류가 다르다. 황반, 그 중에서도 가장 중심인 중심오목에는 원뿔세포가 밀집해 있어 색과 물체를 정확하게 판별하고 주변부 망막에는 막대세포가 분포하여 명암이나 물체의 이동 등을 감지한다.
황반의 중심오목 부위는 사람이 눈으로 물체를 보았을 때, 물체의 상이 망막에 비쳐 초점이 맺히는 부위이기 때문에 이 곳에 구멍이 발생하면, 물체를 보았을 때 갑자기 중심 부분이 보이지 않거나 휘어져 보이는 현상이 나타난다. 이러한 질환을 황반원공이라고 하는데, 신속하게 치료해야 하는 질환이다.
황반원공의 원인은 아직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으나 6~70대의 고령에서 특발성으로 잘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남성보다 여성의 발병율이 3배 정도 높은데, 눈 속을 채우고 있는 유리체라는 물질과 망막 등 조직이 변성되면서 황반부에 견인력이 작용,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한다.
다만 젊은 층의 경우에는 고도근시나 외상 등으로 인해 안구에 충격이 가해졌을 때 황반원공이 발병하기도 한다. 고도근시는 -6디옵터 이하의 근시로 평소 생활에 매우 많은 불편함을 안겨줄 뿐만 아니라 황반원공을 비롯한 각종 망막 질환을 유발할 수 있어 꾸준한 관리가 필요하다.
그렇다면 고도근시가 어떻게 황반원공을 유발하는 것일까? 근시란 유전적, 환경적 요인으로 인해 안구가 비정상적으로 성장하여 생기는 문제다. 본래 탁구공처럼 동그란 모양이어야 하는 안구가 길쭉한 럭비공 형태로 변형되며 근시가 나타나는데, 이러한 변형은 망막의 두께에 영향을 준다. 망막은 매우 얇은 막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안구가 변형되어 근시가 진행되면 안구가 앞뒤로 길쭉하게 늘어나게 되어 망막이 더욱 얇아지고 결국 망막의 중심부인 황반에 구멍까지 생기게 된다.
황반원공은 중심 시야를 잃거나 왜곡되는 증상을 동반하는데 적기에 치료하지 않으면 실명을 초래할 수 있다. 평소 양눈을 동시에 사용하기 때문에 한 쪽에 이상이 생겨도 이를 신속하게 알아차리기 어렵다. 때문에 평소에도 꾸준히 안과 검진을 시행해 눈의 건강 상태를 확인하고 이상 증세를 조기에 발견하여야 한다.
황반원공은 시력측정과 암슬러격자검사, 정밀 망막검사, 빛간섭단층촬영 등을 이용해 진단할 수 있다. 황반원공의 진행단계에 따라 치료 방법을 결정하는데, 부분원공이 아닌 전층 원공인 경우 주로 황반원공의 원인이 되는 견인력 자체를 제거하기 위하여 유리체절제술과 함께 가스충전술을 시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