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막 이야기
한쪽 눈에만 발생하기도 하는 백내장
SNU청안과의원
한영근 대표원장
필자의 병원에 40대 남성 환자가 타 안과에서 시야 흐림과 단순 근시 증상으로 진단을 받고 항생제, 안약을 점안하였으나 증상이 호전되지 않아 본원에 내원하였다. 독서나 스마트폰 등 사용 시 시력에 어려움이 생기기 시작하더니 물체가 이중으로 보이고, 시야가 뿌옇게 보이는 등의 증상이 확인이 되었다. 진단 결과 한쪽 눈은 백내장, 다른 한쪽은 백내장이 전혀 없는 상태였지만 고도근시와 난시가 발견되었다.
이 환자의 경우 백내장 환자치고는 매우 젊은 편이였으며, 한쪽 눈에만 수술이 진행될 경우 짝눈이 되지 않을까 두려워하는 상황이었다.
백내장이 있는 눈은 난시와 노안을 동시에 교정하는 인공수정체를 사용하여 수술을 하면 되었지만 백내장이 없는 한쪽의 경우는 같은 방식으로 하기에는 수정체가 너무 깨끗했으며, 고도근시이기에 라식이나 라섹수술은 절삭량이 많아 위험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래서 선택한 치료방법이 안내렌즈삽입술이다.
안내렌즈삽입술은 각막 주변부에만 최소한의 절개창을 만들기 때문에 중심부 각막을 그대로 보존할 수 있어 안정적인 시력 회복을 기대할 수 있다. 라식 수술이 불가능한 초고도근시 환자나 각막이 얇은 경우, 적합한 수술법이다.
또한, 시력교정 효과가 뛰어나고 각막에도 손상을 입히지 않아 수술 후 안구건조증 우려에서도 상대적으로 자유롭다. 수술 후에도 수정체의 조절력이 남아있는 것도 장점이고, 문제가 발생할 경우 렌즈를 제거함으로써 원상태로 회복할 수 있다는 점도 선호도가 높은 요인 중 하나다.
백내장은 꼭 양쪽에 생긴다고 할 수는 없다. 그렇기 때문에 정확한 검사를 통해 자신의 눈 상태를 파악해야 하고 그에 맞는 치료가 이루어져야 한다. 수술을 하는 과정에서도 원치 않는 부작용이 생길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평소 고도근시나 초고도근시를 앓고 있는 환자들은 정기적으로 안과에서 눈 건강검진을 받아보는 것을 권장한다.
또한 백내장을 진단받았다고 무조건 수술하기보다, 진행 정도와 환자가 느끼는 불편 정도 등 여러 가지를 고려해 전문의와 충분한 상의 후 신중히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술을 하더라도, 경험이 많고 숙련도가 높은 의사가 세심하게 주의를 기울여 수술을 할 때 부작용이 생길 가능성이 적어질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