튼튼한 허리 든든한 인생

낙상으로 인한 골다공증성 척추압박골절 예방하려면

수원윌스기념병원

박춘근 병원장

본격적인 추위가 시작되었다. 두꺼운 옷을 껴입고, 몸을 웅크린 채 다니는 사람들을 많이 볼 수 있다. 이렇게 기온이 낮아지면 관절과 주변 조직이 경직되어 유연성이 떨어지게 된다. 꽁꽁 얼어붙은 빙판길에서 미끄러지기라도 한다면 타박상은 물론 그 충격이 척추까지 전해질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중•장년층의 허리통증 원인은 다양하지만 유독 겨울철에는 빙판길에서 일어나는 ‘낙상 사고’가 원인이 되는 경우가 많다. 겨울철에는 근육이 경직되어 있어 반사신경이나 운동신경이 둔화된다. 또한 두꺼운 옷을 입고 있기 때문에 순간적으로 발생하는 낙상사고에 대비가 어렵다. 특히 노화로 골밀도가 감소된 상태에서의 낙상사고는 척추 압박골절로 이어질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척추압박골절은 골다공증이나 외부의 충격으로 척추 뼈가 정상보다 납작해진 것처럼 변형된 골절 질환이다. 골다공증이 있다면 엉덩방아를 찧는 것과 같은 가벼운 사고에도 압박골절이 발생 할 수 있고, 기침이나 재채기로 통증이 악화되기도 한다.

대개 압박골절이 발생하면 허리와 그 주변에 극심한 통증이 발생한다. 이 통증 때문에 움직이거나 자세를 바꾸는 등의 일상생활이 어려워진다. 가만히 있으면 통증이 없는듯하다가 움직이면 증상이 나오는 경우도 있다. 골다공증이 있는 중년이상의 여성이라면 척추변형으로 등이 굽어지거나, 보행이 어려워지는 상황에 이를 수 있다. 가벼운 외상이나 무거운 물건을 들다가 허리에 과도한 힘을 준 후 이런 증상이 나타난다면 반드시 병원에서 검사와 치료를 진행해야 한다.

조기에 발견했다면 약물치료, 물리치료, 주사치료, 보조기 착용 등 비수술적 치료로도 충분히 완화가 될 수 있다. 그렇지만 질환이 어느 정도 진행이 되었거나 비수술적 치료를 받아도 호전이 보이지 않는다면 수술적 치료를 고려한다. 수술적 치료에는 주사바늘을 통해 골시멘트(골강화제)를 투여해 복원하는 척추체 성형술이나 골시멘트 주입 후 고정하는 척추 유합술 등이 있다. 성공적인 수술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환자의 연령층과 내과적 질환의 유무, 골밀도 상태 등 환자의 상태에 맞는 치료 계획이 필요하다.

뼈 건강은 20대부터 지켜야 한다. 골다공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칼슘과 비타민D를 충분히 섭취하고, 칼슘 배출을 촉진하는 짠 음식은 피하는 것이 좋다. 뼈의 소실이 발생하기 시작한 시기라고 해도 적절한 운동과 충분한 영양섭취로 건강을 유지할 수 있다. 이미 골다공증이 발생했다면 병원에서 치료를 받으면서 뼈가 부러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겨울철 외출할 때는 행동에 제약을 주는 두꺼운 옷보다는 얇을 옷을 겹쳐 입고, 머플러와 장갑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손을 주머니에 넣고 다니는 것은 위험하다.) 집에서는 물기가 많은 화장실 바닥에 매트 등을 깔아두고, 의지할 수 있는 손잡이를 붙여두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바퀴 달린 의자는 피하고, 미끄럼 방지를 위한 실내화를 신는 것도 도움이 된다. 

* 본 칼럼의 내용은 헬스조선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네이버배너
프렌즈배너

헬스조선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