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사에게 배우는 인체생리학

콩팥이 혈압을 조절한다구요? 노폐물 처리만 하지 않나요?

서울부민병원 응급의료센터

박억숭 과장

혈압과 전해질 조절

‘콩팥(kidney)’은 우리 몸의 노폐물을 처리하는 기관으로 잘 알려져 있다. 하지만 그에 못지않게 ‘혈압조절’이라는 중요한 역할도 한다. 실제 고혈압 치료제로 처방되는 약들을 살펴보면 놀랍게도 대부분 콩팥과 관련된 약들이다. 콩팥과 혈압은 어떤 관계가 있을까? 콩팥이 혈압을 조절하는 기전을 알면 ‘왜 많은 고혈압 치료제들이 콩팥과 관련 있는지’ 쉽게 이해할 수 있다.

1. 콩팥과 혈압

심장에서 분출된 혈액은 동맥혈관 속에서 압력을 만든다. 이 압력을 ‘혈압(blood pressure, BP)’이라 한다. 인체의 각 조직과 세포들은 안정된 혈압을 통해 필요한 ‘산소와 영양소’를 공급받는다. 하지만, 과도한 혈압은 혈관 내피에 상처를 내고 결국, 심근경색, 뇌경색 등의 심각한 질환을 일으킬 수 있다. 혈압은 ‘혈액량, 심박출량 그리고 혈관의 지름’(동맥, 정맥 혈액의 분포)에 영향을 받는다.

콩팥은 ‘섭취와 배설 그리고 호르몬 분비’를 통해 혈압을 조절한다. 핵심은 혈액량 조절이다.
특히 콩팥에서 분비하는 호르몬인 ‘레닌(renin)’과 연관된 ‘레닌-안지오텐신-알도스테론계(renin-angiotensin-aldosterone system; RAAS)’는 ‘혈압과 체액의 균형을 조절’하는 중요한 기전이다.

혈압이 떨어져서 콩팥으로 들어오는 혈류량이 감소하면 콩팥은 ‘레닌’을 분비한다. ‘레닌’은 혈장에 있는 ‘안지오텐시노겐(angiotesinogen)을 안지오텐신 I(angiotesin I)’으로 바꾼다. 안지오텐신 I은 ‘안지오텐신 전환효소(angiotensin-converting enzyme; ACE)’에 의해 안지오텐신 II(angiotesin II)가 된다. ‘안지오텐신 II’는 말초혈관을 수축시켜 혈압을 올린다. 또한, 부신겉질의 알도스테론(aldosteron) 분비도 자극한다. 알도스테론은 콩팥 세관에서 ‘물과 나트륨이온(Na⁺) 재흡수를 촉진’하여 소변량이 감소하고 혈액량이 증가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결국, 늘어난 혈액량에 의해 혈압은 상승한다.


반대로 레닌-안지오텐신-알도스테론계를 차단하는 약물들은 ‘소변량을 증가시키고 혈압을 낮추어’ 고혈압, 심부전, 심근경색 치료에 사용할 수 있다.

2. 콩팥과 고혈압 치료제

소변량과 소변 배출 빈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이뇨(diuresis)라 한다. ‘이뇨제(diuretics)’는 보통 콩팥의 세뇨관에서 나트륨이온(Na⁺)의 재흡수를 줄이고, 소변 속으로 나트륨이온(Na⁺)의 배설을 증가시키는 약물이다. 고혈압, 울혈성 심부전, 부종 등 전체적으로 몸에 혈액량이 많아서 생기는 문제의 경우, 이뇨제를 써서 ‘소변량을 증가’시키면 혈액량이 줄어들면서 혈압도 떨어지고 몸의 부종도 빠지게 된다. 다만, 전해질 불균형이 생길 수 있어 전해질 감시가 필요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 thiazide diuretics, loop diuretics, 칼륨 보존성 이뇨제(K⁺-sparing diuretics) 등이 있다.

‘ACEI(angiotensin-converting enzyme inhibitor)’는 captopril, enalapril 등 ‘~pril(~프릴)’로 이름이 끝나는 약물로 레닌-안지오텐신-알도스테론계에 작용한다. ACEI는 안지오텐신 전환효소(angiotensin-converting enzyme; ACE)의 기능을 차단한다. 그 결과로 안지오텐신 II 생산이 멈추고, 알도스테론 분비가 억제되면서 혈압이 떨어지는 것이다.

‘ARB(angiotensin receptor blocker)’는 valsartan. losartan 등 ‘~sartan(~살탄)’으로 이름이 끝나는 약물이다. ARBs는 세동맥 평활근과 부신에 존재하는 ‘angiotensin II 수용체’를 차단하여 ACEI와 비슷하게 혈압이 떨어지는 효과를 나타낸다. 당뇨, 만성신부전, 관상동맥질환, 좌심실 기능 부전, 뇌졸중 병력이 있는 환자들에게 주로 사용한다. 

고혈압→많은 혈액량→콩팥을 통한 소변량 증가→혈액량 감소→혈압조절
이렇게 단순하게 요약된 순서를 보면 고혈압과 콩팥의 관계를 한 눈에 이해할 수 있다.

* 본 칼럼의 내용은 헬스조선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인체생리학을 기반으로 인간에게 각종 질환이 왜 생기는지에 대한 기전을 알기 쉽게 정리합니다.

네이버배너
프렌즈배너

헬스조선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