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이 즐거워지는 아이(EYE) 페스티벌
노년층 시력 위협하는 ‘황반변성’ 예방하기
아이러브안과
박영순 원장
나이가 들면 몸이 점점 노쇠하면서 여기저기 문제가 생기기 시작한다. 물론 눈도 예외가 아니다. 만일 시야가 휘어져서 보이거나, 공백이 생긴 것처럼 보이게 된다면 ‘황반변성’을 의심해볼 수 있다.
황반변성은 망막의 중심부인 ‘황반’에 변성이 오는 질환이다. 황반은 시력의 90%를 담당하는 매우 중요한 곳이며, 이 곳에 변성이 일어나면 시야가 정상적으로 보이지 않게 된다. 황반변성 환자는매년 꾸준히 늘어나고 있다. 국민건강보험에 따르면 황반변성 진료를 받은 환자는 2011년 9만 1000명에서 2016년 14만 6000명으로 61.2% 늘어났다. 이는 연평균 10%씩 증가한 셈이다. 우리나라는 이미 고령화사회로 진입했기 때문에 환자 수는 계속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황반변성의 원인은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대표적인 원인은 노화로 알려져 있다. 50~60대가 되면 황반 속의 루테인이 부족해져서 일어난다. 또한 흡연, 서구식 식습관, 혈중 콜레스테롤 상승, 고혈압, 비만, 고도근시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햇빛(자외선)에 과도하게 노출되는 것 또한 주의해야 한다.
황반변성은 항체주사치료, 레이저치료 등으로 치료한다. 그러나 완전한 치료는 어렵고, 병의 진행을 막아 시력 상실을 최소화하게 된다. 따라서 황반변성은 조기예방, 조기치료가 중요하다. 평소에 타일, 계단 등을 유심히 보는 습관을 기르도록 하자. 반듯하게 보여야 될 직선들이 휘어 보이기 시작한다면 조속히 안과 검진을 받도록 한다. 그러한 증상이 없더라도 1년에 1~2번씩 안과 검진을 받는다면 더욱 일찍 발견하여 적절한 치료를 받을 수 있다.
또한 식습관 개선을 하면 황반변성 예방에 도움이 된다. 평소에 항산화제와 루테인이 풍부한 녹황색 채소와 과일을 섭취하는 것이 좋다. 추천하는 식품은 아사이베리, 콩, 사과, 키위, 케일 등이다. 특히 케일은 루테인이 풍부한 식품이며 샐러드나 스무디를 만들어 섭취하면 좋다.
과일과 채소를 충분히 섭취하면 고혈압, 비만도 함께 해소할 수 있다. 섬유질이 풍부해 포만감을 주므로 다이어트 효과가 나타나기 때문이다. 반면, 술, 가당주스, 탄산음료 등은 식욕을 자극하여 과식하게 만들기 때문에 자제하는 것이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