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원순 원장의 '빛나는 피부 레시피'

겨울에 더 빛나는 피부톤, 기미잡티 관리부터

연세스타피부과

정원순 원장

‘도자기 피부’, ‘쌩얼 메이크업’이라는 말이 나온 지 꽤 됐지만 본연의 피부를 살려 자연스럽게 표현하는 ‘투명 메이크업’이 여전히 대세다. 하지만 한 듯 안 한 듯 얇은 피부 화장을 하다 보면 기미, 잡티가 눈에 띄어 피부가 칙칙해 보일 수 밖에 없다. 조명 하나 더 켠 듯 깨끗하고 밝은 피부를 원한다면 기미와 잡티부터 관리하는 것이 현명하다.

기미와 잡티는 모두 노화 때문에 생기지만 구체적인 원인을 찾으면 여러 가지가 있다. 기미는 이미 기미 유전인자를 가지고 있던 사람이 30대를 넘어서면서 자외선, 스트레스, 면역력 저하 등 다양한 원인의 영향을 받으며 생긴다. 보통 뺨, 눈 주위, 이마에 생기며 진한 갈색을 띤다. 잡티는 기미와 달리 유전 인자가 없어도 햇빛을 많이 쬐면 세포가 노화해 얼굴 전체에 거뭇거뭇하게 올라오는 특징을 지닌다.

발생 원인에서 알 수 있듯이 기미와 잡티를 예방하려면 우선 자외선을 조심해야 한다. 겨울이라고 해서 예외는 없다. 노화를 촉진하는 자외선A는 여름과 겨울의 차이가 별로 없고 유리창을 통과해 실내에서도 쉽게 노출될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손가락 한 마디 정도의 자외선차단제를 매일 바르는 것은 물론이고 사용하는 자외선차단제의 자외선A 차단지수(PA지수)를 확인해야 한다. PA++면 생활 자외선을 차단하기에 충분하다. 자외선이 강한 지역이거나 야외 활동이 많을 때는 PA+++ 제품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피부 보습도 기미와 잡티를 예방하기 위해 중요한 요인이다. 피부가 건조할수록 햇빛에 쉽게 그을려 세포 노화를 촉진한다. 또 피부의 세포 재생을 더디게 해 점점 피부가 거칠어지고 칙칙해지기 쉽다. 여름보다 습도가 낮은 겨울에는 더욱 보습에 신경 써야 한다. 물을 자주 마셔 신진대사를 활발하게 해야 몸 속 독소가 배출돼 피부가 맑아진다. 맹물을 마시기 어렵다면 둥글레차를 마시는 것도 좋다. 둥글레에는 노화를 방지하는 사포닌 성분이 많이 들어 있어 기미, 잡티 예방에 좋다.

화장품으로 인한 색소 침착도 주의해야 한다. 본인의 피부 타입에 맞는 클렌징 제품을 이용해 화장품과 노폐물을 깨끗이 씻어내야 한다. 건성피부라면 오일, 크림 타입, 지성피부라면 젤, 워터 타입이 좋다. 향수를 뿌릴 때도 얼굴 피부에 직접 닿지 않도록 해야 한다. 향수가 햇빛에 반응해 색소가 침착 될 수 있기 때문이다. 향수는 공중에 뿌리거나 먼 거리에서 옷에 뿌리는 것이 좋다.

기미, 잡티 없이 깨끗하고 맑은 피부톤을 만들고 싶다면 꾸준한 관리가 정답이다. 앞서 말한 예방법을 평소 생활습관으로 만들어 아름다운 피부로 거듭나길 바란다.

/기고자 : 연세스타피부과 정원순 원장

* 본 칼럼의 내용은 헬스조선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 환자들을 많이 하는 피부 고민과 질환 궁금증 해소, - 건강한 피부를 위해 기억해야 할 꿀팁 제공 - 최신 피부 관리 및 치료 트렌드 소개

네이버배너
프렌즈배너

헬스조선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