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찬영의 눈이야기

지문날인이나 혈액채취 없이 개인식별이 가능할까?

이안안과

임찬영 대표원장

개인 사생활 침해 등이 이슈로 떠오르고 있는 요즘, 지문인식으로 작동하는 보안 출입문부터, 출퇴근 기록기까지 다양한 제품이 선보이고 있다. 지문날인이나 혈액채취로 개인을 식별하기 위해서는 각 개인의 허락이 있어야 한다. 이런 허락없이 몰래 개인 식별이 가능할까? 가장 쉬운 방법은 얼굴을 보고 구별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것은 컴퓨터로 전산화 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몇 년 전, 낙농진흥회에서 주최하는 체험행사를 아이들을 데리고 참여를 한 적이 있다. 모유 수유로 키운 아이들답게 소 젖짜기를 어찌나 잘하는지, 목장에서 아르바이트를 하면 어떻겠냐는 제안(!)까지 받았는데, 가만히 보고 있자니 소마다 생김새가 달랐다. 목장주님 말씀으로 젖소는 코의 얼룩무늬가 다 다르게 생겨서 이것으로 소를 구별한다고 한다. 사람의 지문과 같은 역할이랄까.

 


사실 지문 뿐 아니라 눈으로도 사람을 구별할 수 있다. 분석을 해서 구별할 수 있는 부위로 지문, 손등의 정맥 등이 흔히 사용되지만, 눈도 아주 흔히 이용된다.

 


홍채(iris)는 눈의 검은자위를 구성하고 있는 부분으로, 카메라의 조리개와 같은 역할을 한다. 백인들은 홍채에 색소가 적어서 회색, 푸른색, 옅은 갈색 등 다양한 눈의 색을 가진다. 범인의 몽타쥬를 그릴 때 서양에서는 눈의 색이 중요하다. 하지만, 우리나라 사람과 같은 동양인은 대부분 짙은 갈색의 홍채를 가진다. 그러나, 똑같은 홍채를 가진 사람은 한 명도 없다는 사실. 색깔도 미묘하게 다르지만, 무늬도 사람마다 다르다.

 


뿐만 아니라 정밀 분석을 통해서 동그란 홍채가 시계방향이나 반시계방향으로 돌아갔는지의 여부도 알 수 있다. 이런 분석을 하면 레이저 시력교정술(소위 라식 수술, 라섹 수술)을 할 때 눈이 움직여도 정확하게 수술이 된다.

 


홍채뿐 아니라 망막의 혈관분포 또한 사람마다 특징이 달라서 망막 사진으로 사람을 구별하기도 한다.

 


2002년에 개봉했던 ‘마이너리티 리포트(Minority Report)’라는 영화에 보면, 상점에 들어가면 눈을 인식하는 카메라가 작동하여, 그 개인의 성향과 샀던 물건의 리스트까지 찾아서 광고를 하는 장면이 나온다. 지문을 인식하는 것보다 개인의 허락 없이 쉽게 인식할 수 있는 부분이기도 하므로, 과학의 발달이 사생활과 프라이버시를 침범할 수도 있다는 경고성이 있는 영화이기도 했다.

 


홍채인식이나 동공인식 기술은 좋은 일에도 쓰인다. 이 기술 덕분에 사지마비의 환자들은 눈의 움직임만으로도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세상과의 연락창을 유지할 수 있다. 물론 아직은 느리긴 하지만, 말도 할 수 없고 눈동자만 움직일 수 있는 환자가 이메일을 보낼 수 있고, 페이지를 넘기며 글을 읽거나, 쓸 수 있게 한 것은 과학의 쾌거라고 할 수 있다.

 


얼룩소의 무늬부터 미세한 홍채의 무늬, 눈송이의 모양까지 세상에는 같은 것이 하나도 없다. 하물며 사람이나 질병을 획일화하여 생각하는 것은 잘못된 결론에 이를 가능성이 크다. 항상 다양함을 받아들이고, 그것에 맞추도록 노력하면서 살 일이다.

* 본 칼럼의 내용은 헬스조선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이안안과 대표원장이 전하는 눈질환에 관한 모든 것

�ㅼ씠踰꾨같��
�꾨젋利덈같��

占싼딅뮞鈺곌퀣苑� 占쎌뮆�э옙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