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형외과 전문의 고민석의 어깨 이야기

간과하기 쉬운 질환인 견봉 쇄골 관절염

가자연세병원

고민석 원장

견봉 쇄골 관절염은 잘 알려지지 않은 어깨 질환이라 병명 자체가 생소하다. 어깨 통증이 있을 경우, 이 질환을 먼저 떠올리는 사람은 드물고 이에 따라 치료가 늦어지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일반인에게는 듣기에 생소한 질환일 수 있지만, 어깨 관절 질환 중 10%를 차지할 정도로 흔한 견봉 쇄골 관절염에 대해 적어보고자 한다. 

어깨 부위를 만지게 되면 위쪽으로 조금 돌출된 부위가 만져지는데, 이 관절을 견봉 쇄골 관절이라고 부른다. 쇄골의 바깥 끝과 견봉이라는 어깨 천정 뼈의 안쪽 끝이 만나는 관절 부위로, 무릎이나 어깨처럼 관절의 가동 범위가 넓지는 않지만, 어깨 관절의 수평적인 안정성을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견봉 쇄골 관절의 연골이 마모되어 나타나는 질환이 바로 견봉 쇄골 관절염이다. 

견봉 쇄골 관절염의 전형적인 증상은 관절 부위 압통이다. 해당 부위를 눌렀을 때 통증이 발생하고, 팔을 머리 위로 들 때나 반대쪽 어깨로 팔을 놓으면 통증이 심해진다. 관절염이 심하게 진행된 환자들은 관절 부위가 눈에 띄게 돌출되어 있으며 이로 인한 피부 자극 증상으로 피부가 붉게 보이기도 한다. 

격한 운동을 자주 하는 운동선수, 무거운 짐을 올리고 내리는 일이 잦은 직업군 등에서 잘 발생하며 사고로 인해 견봉 쇄골 부위의 인대를 다친 과거가 있는 환자들에게 이 질환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젊은 남성의 경우 헬스 같은 근력운동을 위해 벤치 프레스를 자주 할 경우 이 부위 압력증가로 인해 통증이 자주 발생할 수 있으며 관절염이 진행되지 않았더라도 운동 초기에 통증으로 병원에 자주 내원하게 된다. 

진단은 기본적으로 엑스레이와 초음파 검사를 통해 진행하고, 드문 경우지만 MRI 같은 정밀검사까지 진행하기도 한다. 손상 정도가 경미한 상태에서는 약물치료, 주사치료, 물리치료 등의 보존적 치료로 증상 개선을 기대할 수 있으나 이러한 보존적 치료 시기를 놓치게 되면 수술적 치료(원위 쇄골 절제술)를 하는 경우도 있다. 

흔히 나타나는 질환이지만 일반인에게 생소해서 간과하기 쉬운 견봉 쇄골 관절염에 대해 알아보았다. 잘 알려진 회전근개 파열, 석화화 건염, 충돌증후군과는 치료법이 다르기 때문에 어깨 통증에 대한 명확한 구분이 중요하다. 견봉 쇄골 관절염이 의심되는 증상이 있다면, 방치 말고 늦지 않게 병원에 내원하여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받길 바란다.

* 본 칼럼의 내용은 헬스조선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어깨 관절에서 생길 수 있는 여러 질환에 대해 알아보고 질환별 보존적 치료 방법의 종류와 어깨 관절 수술이 바로 필요한 경우, 미뤄도 되는 경우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봅니다.

�ㅼ씠踰꾨같��
�꾨젋利덈같��

占싼딅뮞鈺곌퀣苑� 占쎌뮆�э옙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