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사가 설명하는 약물 이야기

어린이와 노인, 왜 약 용량 줄여야 할까?

서울부민병원 응급의료센터

박억숭 과장

소아와 노인에게 처방하는 약물 용량은 정상 성인보다 현저히 적다. 덩치가 작아서일까? 신체 기능이 떨어져서일까? 약물 대사와 간의 기능에 대해 알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약물의 대사
약동학은 인체에서 ‘어떻게 약물이 움직이는지’를 연구하는 학문으로 흡수, 분포, 대사, 배설이라는 과정이 있다. ‘대사(metabolism)’란 크게 유기체의 모든 에너지와 관련된 화학반응이지만, 좁은 의미에서는 약물의 ‘생체 내 변화(bio-transformation)’라고도 할 수 있다. 즉, 약물이 체내에서 쉽게 제거되는 형태로 바뀌는 화학적 변화를 말한다.

약물 대사와 간
약물 대사를 담당하는 인체 장기로는 간, 콩팥 그리고 다양한 장내 세포들이 있다. 하지만, 약물은 주로 ‘간(liver)을 통과’하면서 가수분해, 산화, 환원과 같은 다양한 화학적인 반응이 일어난다. 간에서의 대부분 대사는 간 미세소체 효소체계(hepatic microsomal enzyme system)에 의해 이루어지고 ‘P-450 체계’라고도 부른다. 이 효소의 주된 기능은 약물을 비활성화시켜 배설을 빠르게 하는 것이지만, 때로는 더 활성화하는 방향으로 진행되기도 한다. 간 미세소체 효소의 기능 변화는 약물 대사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효과적인 약물치료를 위해서는 몇 가지 고려 사항이 있다. 


우선, 소아와 노인은 ‘간 대사활동이 저하’돼 있다. 이런 이유로 일반 성인과 달리 약물의 용량을 줄여야 한다. 또한, 간염이나 간 경화(liver cirrhosis) 같은 간 손상으로 간 대사활동이 떨어져 있는 환자나 특정 대사성 효소가 결핍된 유전질환이 있는 환자 경우에도 주의를 기울여서 처방해야 한다.
‘먹는 약’ 대부분은 위-장관에서 흡수, 간-문맥 순환을 거치므로 간 대사에 의해 비활성화되는 경우가 많다. 이런 효과를 일차 통과 효과(first-pass effect)라고도 한다. 만약 간 기능이 떨어져 있다면, 일차 통과 효과를 회피하기 위해 즉, 간을 피해가기 위해 설하(혀 밑), 직장(좌약), 비경구(혈관, 근육 주사) 등 다른 경로를 생각할 수 있다. 

* 본 칼럼의 내용은 헬스조선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네이버배너
프렌즈배너

�ъ뒪議곗꽑 �쒕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