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완 원장의 <아는 만큼 '보인다'>
굴절형과 회절형의 다초점렌즈, 무엇이 다를까?
BGN 밝은눈안과 롯데타워
김정완 원장
백내장 수술을 받기 위해 안과에 내원한 안 모씨(60, 대학교수)는 직업과 취미 등을 고려해 다초점렌즈로 수술하기로 결정하고, 그중에서도 책이나 컴퓨터의 글씨를 원활히 볼 수 있는 회절형의 렌즈를 선택했다.
최근 백내장 수술을 위한 인공수정체 가운데 다초점렌즈의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다. 인공수정체는 단초점과 다초점렌즈로 구성돼 있는데, 단초점은 아무래도 하나의 초점거리만 볼 수 있고, 수술 후에도 안경이나 돋보기를 써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보니 대개 여러 초점거리를 볼 수 있는 다초점렌즈를 선택하는 경향이 높다.
다초점렌즈도 굴절형 렌즈와 회절형 렌즈 두 가지 종류로 나뉜다.
굴절형 렌즈는 렌즈 위쪽에는 원용부라고 일컫는 멀리 보는 도수가, 아래쪽에는 근용부라고 불리는 가까이 보는 도수가 각각 들어가 있는 렌즈다. 굴절형 렌즈는 대부분의 환자에게 적용 가능토록 관용성이 높고, 빛 번짐이 없는 장점이 있다.
회절형의 렌즈는 원용부와 근용부가 따로 있지 않고. 렌즈 안쪽에 여러 개의 링이 있으며, 회절 원리를 이용해 빛을 원거리와 중간거리, 근거리에 분산해 볼 수 있도록 하는 렌즈다.
회절형 렌즈의 경우 중간거리를 비롯한 다양한 초점거리에서 시력을 개선할 수 있으며, 글자가 겹쳐 보이는 등의 현상이 없는 것이 장점이다.
앞서 소개한 안 씨는 컴퓨터를 자주 들여다봐야 하는 직업의 특성상 중간거리의 초점 거리 회복을 희망하며 회절형 렌즈로 최종 결정된 것이다.
다양하게 출시된 렌즈 가운데 자신에게 적합한 렌즈를 찾기 위해서는 사전에 안구 상태를 정확히 파악하기 위한 정밀검진이 필수다.
이와 더불어 본인이 먼 거리를 잘 보는 게 중요한 직업 또는 라이프스타일을 가졌는지, 컴퓨터 등 중간거리를 자주 봐야 하는 패턴인지, 독서나 모바일 등 근거리를 잘 보는 게 중요한지 등을 파악해 선택할 수 있도록 직업과 취미, 생활패턴 등의 다양한 요소를 의료진과 상담을 통해 자세히 이야기 나누는 것이 좋다.
또한 무엇보다 검진과 상담을 거친 후 자신에게 적합한 렌즈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의료기관이 다양한 렌즈를 보유해 선택의 폭을 넓히고 있는지, 안과 전문의는 적절한 치료계획을 세우고 수술을 집도할 수 있는 풍부한 경험과 노하우를 지녔는지 등을 파악하는 것이 좋겠다.
백내장은 수술을 하면 근본적인 원인을 제거하고, 눈 건강을 다시 찾게 되는 안질환인 것은 맞다.
다만 맹목적으로 수술만 하면 다 된다고 생각하기보다 본인에게 가장 알맞은 렌즈를 선택하기 위해 꼼꼼히 검사하고, 따져보는 자세가 더욱 만족도 높은 수술 결과를 가져올 수 있음을 명심하자.
인간의 감각 70% 정도를 당담하는 시각, 나는 '눈'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을까? BGN밝은눈안과 김정완 원장의 '아는 만큼 잘 보이는' 시력이야기는 현대인들의 다양한 안구질환과 올바른 치료 정보를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