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사에게 듣는 '질환' 이야기
가슴이 타는 듯한 식도염, 해결책 없을까요?
서울부민병원 응급의료센터
박억숭 과장
소화기계 질환
역류성 식도염의 증상, 간단히 증상 조절하는 법
“가슴이 타는 듯이 아파요. 밤에 잠을 잘 수 없습니다.” 역류성 식도염을 진단받고 이런 증상을 호소하는 환자들을 종종 볼 수 있다. 왜 잠을 자지 못할 정도의 심각한 불편함이 특히 밤에 나타나는 것일까? ‘역류성 식도염의 증상’과 ‘생활 속에서 할 수 있는 몇 가지 팁’들을 알고 있다면 그 이유를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역류성 식도염
‘역류성 식도염(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은 위-식도 사이에 있는 조임근이 늘어지고 위산이 역류하면서 점막 손상으로 발생한다. 삼킴, 기침, 힘주기, 굽힘 같은 배 안의 압력이 높아지면 ’아래 식도 조임근(LES)이 개방‘될 수 있다. 또한, 알코올과 흡연, 비만, 임신 그리고 위의 용적 증가, 압력 증가로 발생할 수도 있다. 역류성 식도염의 주요 증상은 타는 듯한 느낌의 쓰린 가슴(burning sensation)이다. 삼킴 곤란, 위 내용물이 역류하면서 느껴지는 신맛 등도 있다. 적절한 치료 없이 심해지면 식도에 미란(erosion), 협착(stricture), 궤양(ulcer)이 발견될 수 있다. 또한, 오랜 기간 지속적인 역류가 있으면 바레트 식도(Barrett’s esophagus)가 생기게 되고 세포 이형성(dysplasia) 정도가 심해지면 식도암(선암)이 생길 수도 있다.
병원을 방문하면 기본적인 혈액 검사를 진행한다. 만약, ‘쪼이는 듯’한 흉통이 동반되면 협심증 등 심장질환에 대한 검사도 꼭 필요하다. 역류성 식도염은 보통 내시경으로 진단할 수 있으나, 그렇지 못한 경우 24시간 식도 산도 검사(pH)를 고려해 본다. 증상 호전을 위해 위산분비를 감소시키는 약제(히스타민 H2 수용체 길항제, 프로톤 펌프 억제제), 진토제, 진경제를 사용한다. 증상이 심해지거나 호흡기 합병증이 동반되는 경우라면 적극적으로 다양한 수술(ex. Nissen fundoplication)적 치료도 고려할 수 있다.
환자 교육
역류성 식도염 예방과 증상 호전을 위해서는 간단하고 꾸준한 ‘생활습관’을 통해 아래 식도 조임근이 잘 닫혀 있도록 해야 한다. 먼저 알코올, 흡연, 카페인 그리고 과식 등 배 안쪽의 위-식도 사이에 있는 조임근 조절을 약하게 하는 것들은 피하도록 한다. 또한, 배 바깥에서 압력을 올리는 복대 착용이나 지속적인 심한 기침 등도 조심하는 것이 좋다. 식후 3시간 동안 눕지 않고, 잠자리에 들기 전 3시간 동안 음식을 먹지 않으면, 아래 식도 조임근의 닫힌 상태를 잘 유지할 수 있어 위산 역류를 방지할 수 있다.
역류성 식도염을 앓고 있는 환자가 잠을 잘 때 평평한 곳에 반듯이 눕는다면, 늘어난 조임근 사이로 위산이 조금 더 쉽게 왔다 갔다 할 수 있다. 이때는 ‘허리, 가슴, 머리를 살짝 들어주는 것’이 좋다. 자세를 이렇게 하면 ‘중력’으로 위산 역류에 따른 증상을 어느 정도 감소시킬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