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례적 상황”… 2주 전 먹은 ‘생선 가시’ 목 뚫고 나와, 실제로 가능한 일?

김예경 기자 |2025/06/20 23:00

[해외토픽]

▲ 생선국을 먹고 2주 뒤 피부를 뚫고 나온 가시. /사진=워크포인트 뉴스
태국의 40대 여성이 생선이 들어간 국을 먹다가 가시를 삼키고, 심지어 삼킨 가시가 피부를 뚫고 나온 사연이 공개됐다.

최근 태국 매체 워크포인트 뉴스에 따르면, 태국 동북부 지역 부리람에 거주하는 45세 여성이 집에서 끓인 생선국을 먹던 중 실수로 생선 가시를 삼켜 목에 통증을 느꼈다. 여성은 다른 음식을 더 삼켜 가시를 빼내려고 했으나 소용이 없었다. 이에 여성은 곧바로 병원을 찾았다. 하지만 엑스레이 검사에서 가시가 발견되지 않았다. 여성은 가시가 자연스럽게 내려갔다고 생각하고 집으로 돌아갔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며 증상은 점점 심해졌다. 2주 뒤, 그는 목에 통증을 느끼고 목이 혹처럼 부풀어 오른 것을 확인했다. 이에 다시 병원을 찾았지만, 이번에도 의료진은 별다른 문제를 찾지 못했다. 이후에도 통증이 계속되자 여성은 목에 진통 패치를 붙였다. 다음 날 목 안에서 찌르는 듯한 통증이 느껴져 패치를 제거하는 순간, 그는 피부 밖으로 약 2cm 길이의 생선 가시 끝이 돌출된 것을 목격했다.

그는 즉시 병원을 찾아, 가시를 제거하는 치료를 받았다. 의료진은 “삼킨 생선 가시가 피부를 뚫고 나온 사례는 매우 이례적이다”며 “우리가 접한 것도 이번이 처음이다”고 말했다.

여성의 남편은 SNS를 통해 피부를 뚫고 나온 생선 가시 사진과 함께 “생선 가시가 목에 걸렸을 때 억지로 밀어 넣으려고 하면 상황이 더 악화할 수 있으므로 조심해야 한다”고 전했다.

◇날카로운 가시, 식도·근육·피부 뚫을 수 있어
실제로 생선 가시에 의해 피부가 뚫리는 것은 가능하다. 고대안산병원 응급의학과 이수교 교수는 “가능성은 매우 낮지만, 실제로 길고 날카로운 가시가 식도에 천공(장기나 조직에 구멍이 뚫린 상태)을 일으키는 경우가 종종 있다”며 “가시가 식도에 천공을 일으키고 목에 있는 근육과 피부를 관통했다면 피부로 뚫고 나올 수 있다”고 했다. 이 교수는 “사례 사진을 보니 가시가 식도, 근육, 피부를 뚫은 것 같다”며 “만약 식도 정맥류가 뚫리면 심각한 출혈을 유발해 사망까지 이를 수 있다”고 했다.

◇길고 굵은 가시 걸리면 병원 찾아야
길고, 날카롭고, 굵은 가시가 목에 걸리는 경우 바로 응급실을 찾아야 한다. 방치면 식도 천공이 나타나고 염증이 생겨 소화기관 전체 감염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 교수는 “목에 가시가 걸려 응급실을 찾는 생각보다 많다”며 “특히 우럭매운탕에 술을 마시다가 큰 가시를 본인도 모르게 삼켜 밤늦게 응급실을 찾는 사람이 많다”고 했다. 보통 식도보다 상단에 가시가 박히면 후두경을 보며 가시를 제거하고, 식도에 박히면 내시경으로 제거한다. 이 교수는 “조기 같이 가시가 작고 가느다란 경우에는 크게 문제가 되는 경우는 드물다”며 “이때는 당장 응급실에 방문하기보다 다음 날 상태를 본 뒤 병원을 방문해도 괜찮다”고 했다.

한편, 가시가 걸렸을 때는 밥을 삼켜 빼내려 하면 안 된다. 가시가 오히려 더 깊숙이 박혀 위급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목으로 넘어간 밥이 가시를 깊게 밀어 넣으면 제거하기 더 어려운 것은 물론, 밀어 넣는 과정에서 식도가 긁혀 손상될 수 있다. 물, 탄산음료 등도 마시면 식도가 손상될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가시를 직접 빼기 위해 무리하게 손가락을 집어넣기도 하는데, 이는 구역을 유발할 뿐 가시를 빼는 데 도움이 되지 않는다. 오히려 가시를 잘못 건드리면서 더 깊이 밀어 넣을 위험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