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에서 털이 올라오는 경우가 있다. 특히 같은 팔에 자란 털인데도 점에 올라온 털이 유독 머리카락처럼 길게 올라와 그대로 둬도 괜찮은 건지 걱정되는 경우가 있다. 점에서 털이 길게 자라나는 이유가 대체 뭘까?
먼저, 점 위에 털이 나는 건 점이 복합 모반이나 진피 내 모반일 때다. 모반은 피부 아래에 색소 생성 세포인 ‘멜라닌 세포’가 비정상적으로 침착된 걸 말한다. 이런 모반이 흑색이나 갈색을 띠고, 사마귀처럼 약간 돌출된 게 복합 모반이다. 대체로 아동기 후기나 성인에게서 나타나고, 사람에 따라 돌출부가 매끈하기도, 살짝 울퉁불퉁하기도 하다. 점에서 거친 털이 자랄 때도 있다. 진피 내 모반은 피부에 물방울이 맺힌 것처럼 점이 반구형으로 튀어나와 있다. 주로 성인에게 나타나고, 역시나 거친 털이 자라기도 한다.
그런데, 점에서 털이 머리카락처럼 길게 자라는 건 조직 이상 탓에 모낭의 생장 주기가 달라져서다. 점은 피부와 조직 등에 이상이 생겨 만들어진 양성종양이다. 양성종양에 있는 모근은 주변의 정상적인 모근보다 털이 자라나는 기간이 길어질 수 있다. 털은 생장기, 퇴행기, 유지기의 3단계를 거쳐 자란다. 생장기 땐 모근 세포가 분열하며 모발이 성장하고, 퇴행기 땐 모낭 크기가 6분의 1로 줄어들면서 피부 표면 가까이 밀려난다. 휴지기의 모낭은 완전히 활동을 멈춰 털이 빠지게 된다. 모발 생장 주기는 신체 부위마다 다른데, 조직 이상 탓에 주변보다 모근의 생장기가 길고 휴지기가 늦으면, 털이 길게 자라지 않는 부위에서도 비정상적으로 길고 굵은 털이 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점 위에서 털이 길게 자라난다고 해서 크게 걱정할 필요는 없다. 다만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병원을 찾아 진단을 받아보는 것을 권고한다. ▲점의 크기가 5mm 이상이고 ▲점의 경계가 불분명하거나 불규칙하고 ▲색이 균일하지 않고 ▲모양이 비대칭인 경우 점이 있는 부위가 가렵거나 진물이 나는 경우다. 이 경우 피부암의 일종인 흑색종일 가능성이 있다.
먼저, 점 위에 털이 나는 건 점이 복합 모반이나 진피 내 모반일 때다. 모반은 피부 아래에 색소 생성 세포인 ‘멜라닌 세포’가 비정상적으로 침착된 걸 말한다. 이런 모반이 흑색이나 갈색을 띠고, 사마귀처럼 약간 돌출된 게 복합 모반이다. 대체로 아동기 후기나 성인에게서 나타나고, 사람에 따라 돌출부가 매끈하기도, 살짝 울퉁불퉁하기도 하다. 점에서 거친 털이 자랄 때도 있다. 진피 내 모반은 피부에 물방울이 맺힌 것처럼 점이 반구형으로 튀어나와 있다. 주로 성인에게 나타나고, 역시나 거친 털이 자라기도 한다.
그런데, 점에서 털이 머리카락처럼 길게 자라는 건 조직 이상 탓에 모낭의 생장 주기가 달라져서다. 점은 피부와 조직 등에 이상이 생겨 만들어진 양성종양이다. 양성종양에 있는 모근은 주변의 정상적인 모근보다 털이 자라나는 기간이 길어질 수 있다. 털은 생장기, 퇴행기, 유지기의 3단계를 거쳐 자란다. 생장기 땐 모근 세포가 분열하며 모발이 성장하고, 퇴행기 땐 모낭 크기가 6분의 1로 줄어들면서 피부 표면 가까이 밀려난다. 휴지기의 모낭은 완전히 활동을 멈춰 털이 빠지게 된다. 모발 생장 주기는 신체 부위마다 다른데, 조직 이상 탓에 주변보다 모근의 생장기가 길고 휴지기가 늦으면, 털이 길게 자라지 않는 부위에서도 비정상적으로 길고 굵은 털이 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점 위에서 털이 길게 자라난다고 해서 크게 걱정할 필요는 없다. 다만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병원을 찾아 진단을 받아보는 것을 권고한다. ▲점의 크기가 5mm 이상이고 ▲점의 경계가 불분명하거나 불규칙하고 ▲색이 균일하지 않고 ▲모양이 비대칭인 경우 점이 있는 부위가 가렵거나 진물이 나는 경우다. 이 경우 피부암의 일종인 흑색종일 가능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