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 없는 '비알코올성 지방간'… 당뇨약 SGLT2 억제제로 호전

이금숙 기자|2023/02/01 05:00

▲ 사진=클립아트코리아 제공
당뇨약 SGLT2 억제제가 당뇨 외에 비알코올성 지방간 호전에도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SGLT2 억제제는 당뇨병에 흔히 쓰이는 약제다.

전체 지방간의 80%를 차지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은 중성지방이 간세포의 5%이상 축적된 상태로, 비만과 연관되어 발생하기 때문에 제2형 당뇨와 동시에 발병하는 경우가 많다.

가톨릭대 여의도성모병원 내분비내과 권혁상 교수 연구팀은 국내 당뇨 환자를 대상으로 비알코올성 지방간 표지자인 지방간 지수(FLI, fatty liver index)와 SGLT2 억제제 사용 연관성을 확인하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팀은 국민건강보험공단 데이터베이스를 활용, 2014년부터 2017년까지 신규 SGLT2 억제제 복용자와 대조군인 DPP4 억제제 복용자를 대상으로 체질량 지수, 허리둘레, 혈중 중성지방 수치, 감마지티피 수치를 추출하여 지방간지수(FLI)를 계산, SGLT2 억제제 사용에 따른 지방간 지수 변화를 평가했다. DPP4 억제제 역시 혈당을 낮추는 약이다.

분석 결과 약 2년간의 꾸준한 SGLT2 억제제 사용 후 지방간 지수 60이상이 될 위험률은 DPP4 억제제 사용에 비해 절반으로 감소했으며, SGLT2 억제제 사용 환자군에서 지방간 지수 60이상인 고위험 환자의 비율이 42.3%에서 30.5%까지 감소하였다.

만성 질환에서 치료의 핵심이 되는 약물 순응도를 추가 분석했는데, SGLT2 억제제 사용률이 50% 이상 되는 환자들이 지방간 호전이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에 연구팀은 SGLT2 억제제 사용의 누적 효과가 체중 감소와 지방간의 호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았다.

김진영 임상강사는 “지방간을 쉽게 호전되는 질환으로 가볍게 생각하는 경우가 많지만 방치하게 되면 간경화나 간암과 같은 중증 질환으로 진행할 수 있다”며 “SGLT2 억제제 계열의 약제를 과체중의 당뇨 환자에게 사용하면, 지방간의 유병률을 낮출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했다.

본 연구는 국제당뇨병연맹(IDF) 국제 학술지 당뇨병 연구와 임상진료(Diabetes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2022년 12월 온라인 판에 게재됐다.

✔ 당뇨병 궁금증, 한 곳에서 해결하세요.
포털에서 '밀당365'를 검색하세요. 당뇨 뉴스레터를 무료로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