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병원은 2020년 1월부터 2022년 4월까지 지난 2년 4개월간 코로나19 현장 대응 경험을 정리한 ‘서울대학교병원 코로나19 백서'를 발간했다고 1일 밝혔다.
이번 백서는 실제 대처를 중심으로 ▲서론 ▲방역 ▲선별 진료 ▲진료 ▲진료 지원 ▲정부협력 및 대외활동 ▲연구 및 향후 과제 ▲코로나19 현장의 소리 등 총 8개 장으로 구성됐다. 코로나19 주요 동향과 사회적 거리두기·방역·진료·정부 협력 등 주요 주제에 따른 서울대병원 코로나19 대응 타임라인도 정리·수록됐다.
서울대병원은 백서를 통해 코로나19 발생부터 최근 오미크론 변이 대응까지 과정을 담아내는 한편 ▲위기대응 부서 상설화 ▲원내 위기소통 ▲병문안 문화 개선 ▲감염병 대비 격리 시설 및 공간 확보 ▲간호인력 확보 등을 향후 과제로 제안했다. 김연수 병원장은 “이번 백서에는 세계적인 감염병 위기 상황에서 고군분투해온 서울대병원 교직원들의 헌신과 노력이 담겼다”며 “향후 발생 가능한 재난 위기상황에서 의료현장 업무 및 직원 훈련 등의 지침서로 활용되기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서울대병원 코로나19 백서는 원내뿐 아니라 국립대병원, 보건정책 관련 정부기관 등 외부기관에도 배포됐으며, 서울대병원 홈페이지에서 누구나 열람할 수 있다.
이번 백서는 실제 대처를 중심으로 ▲서론 ▲방역 ▲선별 진료 ▲진료 ▲진료 지원 ▲정부협력 및 대외활동 ▲연구 및 향후 과제 ▲코로나19 현장의 소리 등 총 8개 장으로 구성됐다. 코로나19 주요 동향과 사회적 거리두기·방역·진료·정부 협력 등 주요 주제에 따른 서울대병원 코로나19 대응 타임라인도 정리·수록됐다.
서울대병원은 백서를 통해 코로나19 발생부터 최근 오미크론 변이 대응까지 과정을 담아내는 한편 ▲위기대응 부서 상설화 ▲원내 위기소통 ▲병문안 문화 개선 ▲감염병 대비 격리 시설 및 공간 확보 ▲간호인력 확보 등을 향후 과제로 제안했다. 김연수 병원장은 “이번 백서에는 세계적인 감염병 위기 상황에서 고군분투해온 서울대병원 교직원들의 헌신과 노력이 담겼다”며 “향후 발생 가능한 재난 위기상황에서 의료현장 업무 및 직원 훈련 등의 지침서로 활용되기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서울대병원 코로나19 백서는 원내뿐 아니라 국립대병원, 보건정책 관련 정부기관 등 외부기관에도 배포됐으며, 서울대병원 홈페이지에서 누구나 열람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