엉덩이 종기는 누구나 한 번쯤 겪을 수 있다. 피부에 상주하고 있는 세균에 대한 면역 반응이 원인이기 때문이다. 대다수는 자연 치유된다. 그러나 감염이 근육 등 연부조직에 이르면 사라지지 않는 흉터가 남거나 걷는 데 지장이 생길 수도 있다. 드물지만 심한 경우 패혈증으로 이어질 수 있어서 제 때 치료받아야 한다.
종기는 모낭에 들어온 세균에 의해 발생한다. 모낭에 세균이 들어오면 염증 반응으로 혈관이 확장되고 혈류의 속도가 느려진다. 이러면 혈관 투과성이 높아지는데 단백질의 혈관 밖 유출이 가능해진다. 백혈구도 마찬가지다. 외부로부터 침입한 세균이나 이물질을 제거하는 백혈구가 혈관 밖 제한된 공간으로 유출되면 세포와 물질들이 모이고 반응하게 된다. 주변 조직은 빨갛고 뜨겁게 붓는다. 이런 반응으로 인해 통증 수용체가 자극되면 우리는 ‘아프다’고 느낀다.
처음엔 아프고 단단한 붉은 결절로 시작해 커지면서 통증이 심해지고 노란 고름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시간이 지나면 손가락으로 살짝 눌리면 물렁물렁하게 변하다가 완전히 곪으면 고름이 터져 배출된다. 배출된 종기는 흉터와 색소침착을 남기지만 시간이 경과하면 대부분 자연 치유된다. 단순 종기의 경우 환부에 온찜질을 해주면 화농을 쉽게 배출될 수 있다.
그러나 병원에 가야 할 때도 있다. ▲발열, 오한 등 전신 증상이 있는 경우 ▲병변이 큰 경우 ▲자주 재발하는 경우엔 전문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초기에는 항생제 등 약물 치료로 완화가 가능하다. 그러나 치료시기를 놓쳐 염증이 근육 등 연부조직에까지 침범하게 된다면, 걷는 기능에 이상이 나타나거나 흉터가 더욱 커질 수 있다. 이럴 땐 수술을 통해 제거한다. 먼저 원인균을 죽이기 위해 절개와 배농을 실시한다. 빨갛고 뜨겁고 붓고 아픈 증상들은 염증반응을 억제하는 ‘진통소염제’ 사용으로 조절할 수 있다.
평소 종기를 예방하는 완벽한 방법은 없다. 몸을 청결히 하고 덥고 습한 환경을 피해도 면역력이 약해지는 순간 재발할 수 있다. 다만 종기를 손으로 만지는 행위는 피해야 한다. 종기를 제거하기 위해 오염된 기구나 손을 갖다 댄다면 세균을 공급해 2차 감염을 유발하는 셈이기 때문이다. 최악의 경우 패혈증까지 겪을 수 있다.
종기는 모낭에 들어온 세균에 의해 발생한다. 모낭에 세균이 들어오면 염증 반응으로 혈관이 확장되고 혈류의 속도가 느려진다. 이러면 혈관 투과성이 높아지는데 단백질의 혈관 밖 유출이 가능해진다. 백혈구도 마찬가지다. 외부로부터 침입한 세균이나 이물질을 제거하는 백혈구가 혈관 밖 제한된 공간으로 유출되면 세포와 물질들이 모이고 반응하게 된다. 주변 조직은 빨갛고 뜨겁게 붓는다. 이런 반응으로 인해 통증 수용체가 자극되면 우리는 ‘아프다’고 느낀다.
처음엔 아프고 단단한 붉은 결절로 시작해 커지면서 통증이 심해지고 노란 고름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시간이 지나면 손가락으로 살짝 눌리면 물렁물렁하게 변하다가 완전히 곪으면 고름이 터져 배출된다. 배출된 종기는 흉터와 색소침착을 남기지만 시간이 경과하면 대부분 자연 치유된다. 단순 종기의 경우 환부에 온찜질을 해주면 화농을 쉽게 배출될 수 있다.
그러나 병원에 가야 할 때도 있다. ▲발열, 오한 등 전신 증상이 있는 경우 ▲병변이 큰 경우 ▲자주 재발하는 경우엔 전문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초기에는 항생제 등 약물 치료로 완화가 가능하다. 그러나 치료시기를 놓쳐 염증이 근육 등 연부조직에까지 침범하게 된다면, 걷는 기능에 이상이 나타나거나 흉터가 더욱 커질 수 있다. 이럴 땐 수술을 통해 제거한다. 먼저 원인균을 죽이기 위해 절개와 배농을 실시한다. 빨갛고 뜨겁고 붓고 아픈 증상들은 염증반응을 억제하는 ‘진통소염제’ 사용으로 조절할 수 있다.
평소 종기를 예방하는 완벽한 방법은 없다. 몸을 청결히 하고 덥고 습한 환경을 피해도 면역력이 약해지는 순간 재발할 수 있다. 다만 종기를 손으로 만지는 행위는 피해야 한다. 종기를 제거하기 위해 오염된 기구나 손을 갖다 댄다면 세균을 공급해 2차 감염을 유발하는 셈이기 때문이다. 최악의 경우 패혈증까지 겪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