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만 되면 탄력 잃고 노화하는 피부… '긴급 대책' 알아두세요

이해나 헬스조선 기자|2020/07/23 09:00

여름철 피부 관리법

▲ 여름철 피부건강을 지키려면 피부에 열이 오르지 않도록 하고, 에어컨·선풍기 바람을 피하고, 화장품 유통기한을 지켜 사용하고 관리한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30대 여성 A씨는 요즘 거울 보기가 싫다. 날이 더워진 이후로 피부가 더 처지고 주름도 부쩍 늘어난 것만 같아 신경 쓰인다. 실제 여름에는 높은 온도로 피부가 이완되면서 탄력이 떨어질 수 있다. 여름철 피부건강 지키는 방법을 소개한다.

자외선뿐 아니라 '열' 자체가 피부의 敵
피부 온도가 정상체온보다 높으면 피부 노화가 일어난다. 햇볕을 피부에 그대로 쫴면 자외선이 피부 노화를 촉진해 문제가 된다고만 알고 있는 사람이 많다. 하지만 열 자체만으로도 피부 노화를 촉진할 수 있다. 피부 온도는 정상체온보다 5~6도 낮은 31도가 정상인데, 여름철 뜨거운 직사광선을 받으면 40도 이상으로 올라갈 수 있다. 그러면 피부 속 콜라겐을 분해하고 합성하는 MMP 효소가 증가한다. 이 효소가 과도하게 만들어지면 피부에 필요한 정상적인 콜라겐과 탄력섬유를 분해해서 주름이 늘어나고 피부 탄력이 저하된다. 모세혈관과 모공이 확대되기도 한다. 따라서 피부 온도를 높이는 찜질방, 사우나 등을 피하고 음주, 매운 음식을 자제하는 것이 좋다. 외출 후 뜨거워진 피부 온도를 냉장고에 넣었던 팩으로 낮추는 것도 방법이다.

에어컨·선풍기 바람 직접 닿지 않게
피부에 직접적으로 닿는 바람은 피부를 건조하게 만들어 주름이 잘 생기고 노화가 촉진된다. 땀이 증발하면서 피부 자체의 수분도 빼앗기기 때문이다. 따라서 특히 얼굴은 에어컨 바람을 정면으로 쐬지 않게 해야 한다. 에어컨을 등지고 앉거나 비켜 앉는 것도 좋다. 얇은 겉옷을 입어 직접적인 바람을 피하는 것도 몸의 피부 노화를 막는 방법이다. 휴대용 선풍기를 사용한다면 가볍게 땀만 식히는 정도로만 쓴다. 이미 에어컨·선풍기 바람에 피부가 건조해졌다면 보습 제품을 바른다. 여름철은 습하고 피지 분비가 많아 보습에 소홀하기 쉽다. 땀이나 피지 때문에 피부가 건조하지 않다고 착각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는 유분에 의한 끈적거리는 상태를 촉촉한 상태로 착각하는 것이다. 따라서 보습제품으로 에어컨·선풍기 바람에 건조해진 피부 속 수분을 채운다. 여름철에는 수분을 끌어당겨 각질층에 수분을 공급해주는 글리세린, 소비톨, 프로필렌글리콜, 다당류 등이 포함된 보습제를 쓰는 게 적절하다.

습한 여름 화장품 쉽게 변해 주의해야
고온 다습한 환경에서 화장품은 변성되거나 오염될 수 있다. 상태가 변한 화장품을 쓰면 모낭염, 피부 발진, 접촉성 피부염 등이 생길 수 있어 화장품을 잘 보관하고 유통기한이 지난 것은 버린다. 자외선차단제는 오일 함량이 높아 변질되기 쉬우므로 직사광선을 피하고 적정 온도에 보관한다. 개봉 후 1년 안에 사용하는 것이 좋다. 립 제품은 입술 점막과 침이 닿아 세균이 더 쉽게 번식하기 때문에 립 브러시나 면봉을 이용해 위생적으로 사용하면 좋다. 개봉 후 12개월 이내에 사용한다. 마스카라는 개봉 후 6개월 정도로 유통기한이 짧다. 마스카라를 사용할 때 눈물, 점액과 같은 분비물이 닿아 쉽게 오염되기 때문이다. 기한이 지난 제품은 눈 충혈, 염증 등 안구질환을 일으킬 수 있으니 버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