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의료진이 경도인지장애 환자의 뇌에 저강도 전기자극을 줘서, 대뇌 포도당 대사 증가 및 기억력을 향상시키는 치료법을 개발했다.
가톨릭대학교 인천성모병원 정용안·송인욱 교수팀은 'tDCS 경두개직류자극치료(tDCS: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를 통해 경도인지장애 환자의 치료 후 변화를 확인했다. 교수팀은 경도인지장애를 가진 피험자 16명을 대상으로 매주 3회씩 3주 동안 비침습적인 경두개직류자극 치료 전·후 변화를 PET-CT 및 신경인지검사를 통해 관찰했다. 경도인지장애는 일상생활은 가능하지만 일반인에 비해 전반적인 인지능력이 저하된 상태를 말한다.
예비 연구로 진행된 이번 연구에서는 피험자를 뇌직류전기자극 치료를 실제 시행한 그룹과 그렇지 않은 그룹으로 이중맹검법을 통해 나눴다. 모든 피험자는 뇌직류전기자극 치료를 3주간 총 9회 실시했고 치료 전후로 뇌의 기능을 평가하기 위해 PET-CT 와 신경인지검사를 시행해 치료효과를 비교 분석했다. 뇌직류전기자극 치료는 전극을 양측 전두엽 영역부위에 부착하고 저강도의 직류전류를 통해 전기 자극을 주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그 결과 비교적 장기간 동안 정기적인 뇌직류전기자극 치료를 받은 경도인지장애 환자들의 국소 대뇌 대사량이 현저히 증가했다. 또한 경도인지장애 환자들의 3주간의 직류전기자극 치료 후 주관적 기억만족도와 기억력이 향상됐다.
정용안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경도인지장애 환자들이 빠른 시기에 뇌신경조절을 통한 신경생리학적 치료가 경도인지장애 진행을 지연시키거나 치료가 가능하다는 것을 증명했다”며 “이번 연구로 경도인지장애를 단순히 노화로만 여기지 말고 적극적인 치료를 통해 환자 삶의 질을 높일 수 있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을 통해 미래창조과학부의 뇌과학원천기술개발사업으로부터 지원받아 진행됐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알츠하이머병 연구와 치료(Alzheimer's Research and Therapy)’ 온라인판 12월 1일자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