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화 속 와인 이야기
화가 다 빈치의 풀 네임(생략하지 않은 이름)은 레오나르도 디 설 피에로 다빈치(Leonardo di ser Piero daVinci, 1452~1519, 이하 다 빈치)입니다. 레오나르도는 이름이고, 디 설 피에로는 피에로의 아들, 그리고 다 빈치는 빈치에서 태어났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여기서 우리는 그의 이름에 성(姓)이 존재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는 피렌체의 부유한 공증인이던 아버지 피에로와 가난한 농사꾼의 딸 혹은 피에로가 소유했던 노예라는 설이 있는 카타리나 사이에서 혼외자로 태어났습니다.
다 빈치는 1452년 4월 15일에 피렌체공화국의 빈치에서 태어났습니다. 당시 이 지역은 은행가 집안으로 부를 축척하고 이를 기반으로 강력한 권력을 가진 메디치가(Medici Family)에 의해 통치되고 있었습니다. 메디치가는 예술가들을 후원했고, 초기 르네상스에 큰 공헌을 했습니다. 부유한 아버지를 두었지만 혼외자로 태어난 다 빈치 역시 이들의 후원을 받습니다.
메디치가의 로렌조는 밀라노를 통치하고 있던 스포르차 가문과의 평화를 위해서 루도비코 공작에게 다 빈치를 보냅니다. 이탈리아 북서부의 밀라노로 간 다빈치는 루도비코 공작의 요청으로 산타 마리아 델레 그라치아 성당(Santa Maria Delle Grazie)에 벽화를 그렸습니다. 바로 그 벽화가 <최후의 만찬(The Last Supper)>입니다.
“너희 가운데 한 사람, 나와 함께 음식을 먹고 있는 자가 나를 팔아넘길 것이다.”
- 신약성서(마태복음 등)
작품은 예수가 제자들 중 하나가 그를 배반할 것이라고 예언했을 때 열두 제자의 반응을 표현한 것입니다. 다 빈치는 작품 속에서 예수를 배반한 유다를 그리기 위해 완벽한 악당의 얼굴을 찾아 많은 시간을 들이는 등 철저한 자료 조사 후 작업을 합니다. 테이블에는 예수의 살과 피를 상징하는 빵과 붉은색의 와인이 놓여 있습니다. 다빈치는 역시 와인을 그려 넣기 위해 주변의 와이너리에서 많은 시간을 보냈다고 합니다. 그가 작업을 하던 이탈리아 북서부 지역에는 당도가 거의 없는 드라이 레드 와인중 하나로 손꼽히는 바롤로(Barolo)가 생산됩니다.
바롤로는 지역명이자 와인의 이름으로 이탈리아 토착 품종인 네비올로만으로 만들어집니다. 네비올로는 껍질이 얇고 질병에 쉽게 걸리며 수확량도 적어 재배가 어렵습니다. 네비올로로 만든 와인은 옅은 색을 지니며 산도와 탄닌감, 알코올 도수가 높고, 붉은 과일과 말린 장미, 감초, 건초 같은 풍미를 지닙니다.
일반적으로 바롤로는 어느 정도 병 숙성을 거친 후 마셔야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토양을 기준으로 크게 2가지 스타일로 나뉩니다. 동쪽의 헬베티아(Helvetian)토양에서 생산된 포도로 만든 와인은 오랜 기간 숙성되면서 본연의 맛과 풍미를 유지합니다. 반면 서쪽의 푸른 빛을 띠는 토르토니안(Tortonian) 토양에서 생산된 포도로 만든 와인은 부드럽고 과실 풍미가 살아 있지만 빨리 숙성됩니다. 이번 호에는 출시 후 바로 마시기에도 좋은 토르토니안 토양을 가진 라 모라(La Morra, 바롤로 지역에 있는 한 마을의 이름)와 바롤로 지역의 와인을 소개하겠습니다.
섬세한 스타일의 미켈레 끼아를로 바롤로 ‘체레퀴오’
이탈리아는 기원전 800년에 그리스에서 포도나무가 유입된 이래로 오랜 기간 와인 역사의 중심에 있습니다. 이렇게 전통이 깊은 이탈리아에서 대를 이어 가족 경영을 해온 프리미엄 와이너리들이 많습니다. 바롤로의 대표적인 와이너리인 미켈레 끼아를로는 1958년 첫 번째 바롤로 와인의 생산을 시작한 이래 오직 좋은 해에만 와인을 생산해왔습니다.
미켈레 끼아를로가 위치한 라 모라 지역의 자연환경은 매혹적인 향기를 가진 우아한 스타일의 와인을 만듭니다. 미켈레 끼아를로 바롤로 ‘체레퀴오’(Michele Chiarlo Barolo ‘Cerequio’) 2011는 1880년에 있었던 바롤로의 첫 등급 분류에서 유일하게 1등급에 이름을 올렸습니다. 총 6헥타르의 작은 포도밭의 포도나무 한 그루에서 오직 1kg의 포도만 수확하며 700L 크기의 오크 배럴에서 2년의 숙성을 거쳐 와인을 생산합니다. 글라스 안에는 질은 갈색과 연한 느낌의 가넷(석류석)색이 조화를 이룹니다. 블랙베리와 후추의 풍미가 코를 감쌉니다. 섬세한 탄닌과 산도의 밸런스가 매우 좋고, 무게감이 있으며, 잘 말린 장미와 함께 레드베리, 블랜커런트 등의 과실 풍미가 입안에 가득찹니다.
강직한 구조감의 지디 바이라 바롤로 알베
1972년 알도 바이라(Aldo Vajra)는 아내와 함께 그의 할아버지 이름을 딴 지디 바이라(G.D. Vajra) 와이너리를 설립해 현재 세 명의 자녀와 함께 가족 경영 와이너리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지디 바이라는 전통을 지키려는 노력과 함께 새로운 도전을 하는 바롤라의 대표적인 와이너리입니다. 이들은 잊힌 바롤라의 토착 레드 포도 품종인 프레이사로 와인을 만들었을 뿐 아니라 바롤라와 그 주변 지역에서 최초로 화이트 포도 품종인 리슬링으로 와인을 생산했습니다. 그리고 바롤로에서 최초로 유기농 인증서를 획득했습니다.
지디 바이라 바롤로 알베(G.D. Vajra Barolo Albe) 2011은 포도를 수확해 세 번에 거쳐 손으로 선별 작업을 한 후 양조를 시작합니다. 그리고 바롤로의 전통적인 양조법대로 큰 오크통에서 숙성해 연간 3만 병 정도 한정 생산합니다. 와인병에서 코르크를 뽑으면 감초와 잘 익은 붉은 색 베리류의 풍미가 강하게 올라옵니다. 글라스로 옮긴 와인은 옅은 가넷색을 가지고 있습니다. 와인 오픈 후 2시간이 지나면 산도와 탄닌의 밸런스가 맞춰져 건초, 검붉은 체리, 후추, 민트 그리고 말린 꽃의 풍미를 보여줍니다.
서민희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공예문화정보디자인학과 강사 겸 금속공예작가로 개인전을 5회 개최했다. 미국 펜실베이니아주립대에서 금속공예와 주얼리를 전공했고, 템플대학교에서 CAD-CAM 학위를 받았다. 영국 와인전문교육기관 WSET를 수료한 와인 전문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