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진탕에 걸리면 정말 머리가 나빠질까?

이금숙 헬스조선 기자|2012/10/17 14:55

▲ 사진=KBS 승승장구 화면 캡처

가수 김종민이 초등학교 시절 뇌진탕을 겪은 사연을 공개했다.

김종민은 지난 16일 방송된 KBS ‘승승장구’에 출연해 “초등학교 시절 뛰어내리는 것을 좋아했는데 하루는 턱부터 떨어져 뇌진탕에 걸렸다”며 “이가 다 부러지고 머리를 다친 후 이틀 간 혼수상태에 빠졌다”고 말했다. 이어 “뇌진탕 전까지는 공부도 꽤 하는 편이었는데 이후 삶의 모든 의욕이 떨어졌다”고 고백했다.

일반적으로 뇌진탕으로 불리는 이 병은 외상성 뇌손상인데, 뇌의 구조의 이상을 초래하지 않는 뇌의 일시적인 기능부전이며 주로 의식 소실을 동반하는 병이다. 즉, 뇌에 충격이 가해져서 ‘뇌가 놀랐다’고 이해하면 쉽다.

병의 원인으로는 교통사고, 산업 재해, 스포츠 손상 등 각종 사고에 의한 외상성 뇌손상 환자가 대부분이다. 머리 부분의 외상에 의해 발생하지만 뇌 실질에 출혈 등의 이상이 발생하지는 않는 한 신경계의 일시적인 기능 손실 외에는 후유증이 없다.

고려대 구로병원 신경정신과 임상심리실 연구팀이 발표한 <외상성 뇌손상 환자의 기억기능 연구>에 따르면 뇌진탕 증상은 경중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인지, 정서, 행동, 사회 기능에서 일시적인 장애를 초래한다. 특히 인지적 문제에서 기억력, 주의력, 정보처리능력 그리고 문제해결 및 실행 능력에 문제를 보인다.

뇌진탕이 발생하면 다른 합병증이 발생하지는 않는지 관찰하면서 경과를 살핀다. 당장은 출혈 등이 없을 수 있지만 사고 후 1~6개월 사이 두통과 함께 여러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니 당장 아프지 않아도 반드시 병원을 찾아야 한다.

평소 뇌진탕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어린이의 경우 높은 곳에서 뛰어내리지 않도록 부모님의 주의가 필요하다. 성인의 경우 산업재해, 교통사고로 인한 뇌진탕 발생이 높으니 공사장 등 위험요소가 있는 곳에서는 머리를 주의한다. 또 운동경기 중 점프 후 떨어져 뇌진탕에 걸릴 수도 있으니 조심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