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아교정
[올바른 어린이 치아 교정법] 6~7세에 치아 검진하고 9~12세에 교정 시작해야 효과
한희준 헬스조선 기자
입력 2013/05/22 08:30
10명 중 7~8명이 교정 대상, 유치 빠진 곳 영구치 안 나면… 치아 사이에 공간 생기고, 외상으로 유치 빨리 빠지면… 모든 영구치 배열 흐트러져
우리나라 아동 10명 중 7~8명은 치아 교정이 필요한 상태라고 전문가들은 말한다. 딱딱한 음식을 잘 안 먹다보니 치아 운동량이 부족하고, 얼굴이 길고 턱이 좁은 형으로 바뀌면서 부정교합(입을 다물었을 때 위·아래 이가 어긋나는 것)이 많이 생기는 것이다.
◇6~7세에 치과 검진 시작해야
부정교합을 유발하는 원인과 치료법은 다음과 같다.
▷영구치가 없을 때=유치가 빠진 자리에 영구치가 안 나면, 치아 사이에 공간이 생기거나 주변의 치아가 기울어져서 난다. 이 경우 얼굴형이나 턱 모양에 따라 치아 교정 방법이 결정된다. 치아 사이의 공간을 메울 수도 있고, 나중에 임플란트를 심을 공간을 남겨두는 교정을 할 수도 있다. 치조골이 다 형성되지 않았기 때문에 임플란트를 심지 않는다.
▷치아 개수가 많을 때=치아는 사랑니를 빼고 28개가 나야 정상이다. 영구치가 이보다 많은 경우가 있는데, 이를 과잉치라고 한다. 과잉치가 다른 치아와 맞물려서 나면 즉시 뽑는 게 좋다. 입천장이나 아래 턱 안쪽에 나면 치열에 영향을 안 주므로 상황을 봐가며 뽑아도 된다. 다만, 오래 놔두면 과잉치 주변의 조직이 발육하면서 물혹이 생길 수 있으므로 6개월~1년에 한 번씩 검사하는 게 좋다.
▷치아와 잇몸뼈가 붙었을 때=치아에 큰 충격이 가해졌거나 빠진 치아를 다시 심으면, 간혹 치아가 잇몸뼈와 붙는 경우가 있다. 치아가 잇몸뼈와 붙으면 그 치아만 내려앉는다. 유치가 잇몸뼈와 붙었다면 즉시 뽑은 뒤 교정을 시작하고, 영구치가 붙었다면 치조골의 성장이 가장 활발한 사춘기 이후에 뽑는 게 좋다. 그 전에 뽑으면 치열이 흐트러지기 때문이다. 유착된 영구치를 뽑은 뒤에는 공간을 확보할지, 메울지를 결정한 뒤 교정을 한다.
▷유치가 빨리 빠졌을 때=충치나 외상으로 인해 유치가 하나라도 빨리 빠지면(조기 상실), 모든 영구치의 배열이 흐트러진다. 흔들리지 않던 유치가 갑자기 빠지면 조기 상실일 가능성이 높다. 영구치가 나올 공간을 확보하는 교정기를 끼워야 한다.
▷치아가 엉뚱한 곳에 날 때=유치가 늦게 빠지거나 치배(齒胚)의 위치가 선천적으로 잘못 잡히면 영구치가 엉뚱한 곳에 난다. 이를 방치하면 덧니가 생기거나, 주변 치아가 기울어진다. 치아가 날 공간이 부족하면 다른 치아를 뽑은 뒤 제자리로 돌리는 교정을 한다.
◇아동 치아 교정 무료 검진
대한치과교정학회와 바른이봉사회는 26일 오후 1시 30분 서울 연세대 대강당에서 '2013 바른이의 날. 미소리본 캠페인'을 개최한다. 만 6~10세 어린이와 부모를 대상으로 아동 치아 교정 무료 강좌를 열며, 교정 전문 치과의사들이 무료 검진을 해준다.